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숙아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병신
기형
신체이상
d라이브러리
"
불구
"(으)로 총 1,977건 검색되었습니다.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고문으로 참여한 '아시모프의 SF매거진'이 창간됐다. 오늘날 이 잡지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
하고 서구 SF문학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SF문예지의 하나로 자리잡았다.'인간이란 무엇인가'화두던져 로봇소설의 백미아시모프의 로봇시리즈 서두에는 늘 '로봇공학의 3원칙'이 등장한다. 이 원칙들은 ... ...
병이 병을 부르는 합병증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각 조직에 비축된 지방질과 단백질을 사용한다. 따라서 식욕이 왕성하고 많이 먹는데도
불구
하고 체중은 줄고 몸은 마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게다가 소변으로 당이 배출될 때 수분을 끌고 나가기 때문에 소변량이 많아진다. 결과적으로 심한 갈증이 느껴진다. 소위 당뇨병의 3가지 특징 증상인 다식, ... ...
3. 고온 서바이벌 게임의 승리자 세라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금속과 달리 구성 원자간에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세라믹스는 온도 변화에 관련된 열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 등에서 ‘독한’재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무뎌지지 않는 칼20-30년전의 상황을 다룬 시대극과 최근의 드라마와의 차이점을 찾아보자. 여러 ... ...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한 축이 된 것이다.미래 생활을 읽어야물론 한가지 과제는 남는다. 전반적인 낙관론에도
불구
하고 시대적 변화와 대세를 따라잡아야 한다는 점이다. 한순간에 휴대폰의 운명도 ‘바람 앞의 촛불‘이 될 수도 있다. 이동전화사업자들은 이동전화가 바꿔놓은 생활풍속도의 변화를 보며 미래 ... ...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있고, 이산화탄소는 산소-탄소-산소가 일직선으로 늘어선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상온에서 분자들이 고체 물질에 비해 비교적 자유롭게 돌아다니기 때문에 유체다. 그런데 만일 전자들이 훨씬 무거워진다면 전자들은 위치가 고정된 수소-산소-수소 원자들 사이의 결합을 지탱해주는 ... ...
준비운동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오랜 전통을 가진 준비운동이 쉽게 사라질 것 같지는 않다. 이러한 증거에도
불구
하고 근육이 뭉쳐있거나 굳어있는 경우 여전히 스트레칭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포프는 운동 후에도 마무리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선 아직 증거불충분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왜곡된 국내 벤처기업 벤처기업을 해서 성공할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벤처기업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줄을 선다. “요즘 벤처기업을 만들지 못하면 바보로 취급됩니다. 생각해보세요. 정부가 막대한 재원을 마련해놓고 벤처기업을 만들면 지원해준다는데,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했더니 원반이 날아가기는커녕 그 선수가 엉덩방아를 찧으며 넘어졌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이 작품은 원반이 선수의 손을 떠나 허공을 가로질러 날아갈 것만 같은 시각적 역동성 못지 않게 균형잡힌 포즈라는 시각적 효과를 동시에 얻고 있다. 소우주와 대우주의 관계 그렇다면 그림에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다름 아닌 왼쪽 얼굴 중심의 측면상이 된다.서양보다 오른손 선호이와 같은 이유에도
불구
하고 ‘한국명인초상대관’에서 왼쪽 얼굴 중심의 측면상이 97%라는 수치는 너무 과한 것 같다. 국립현대미술관이 해마다 선정하는 ‘올해의 작가’가 된 인물화가 김호석씨는 자신이 직접 답사한 우리나라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변비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장의 운동이 지극히 정상임에도
불구
하고 일주일에 3회 이하로 대변을 보는 경우는 대장을 잘못 길들인 탓이다. 초기의 변의를 무시해버리고 변의가 심하게 느껴질 때에 화장실로 가는 습관이 오래 가면 항문 주변의 감각수용체가 둔감해진다.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