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한 뼘 자란 듯한 느낌이다. 특히 최근엔
새
변화가 생겼 다. 며칠 전 마주친 그는 "이번에
새
로 온 인턴이죠? 할 만 해요?"라고 말을 걸었다. 큰 키에 선이 굵은 얼굴을 가진 옆 팀 김 대리다. 이상형인 배우 하정우를 닮아 흘깃거린 적이 있는데, 굵은 목소리를 듣는 순간 바 이킹을 탄 것처럼 가슴이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것 없이 HMD를 보고 있을 거란 말이다. 어떤 혁명적인 변화 가 생길까. 상상하는 사람이
새
로운 세상의 주인이 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 눈앞으로 다가오다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차량의 실시간 내비게이션 정 보를 지도에 입력해 교통 상황을 한 눈에 보여주는
새
로운 내비게이션도 제안했다. 3D 지도에 헬기가 촬영 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입혀서 보여주자는 아이디어 다. 운전자들에게 정체된 구간과 침수된 도로를 미리 알려줘 차량이 이런 구간으로 몰리는 것을 예방할 수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번의 교육과정 개편에 교사로 직접 참여한 최수일 수학교육연구소 연구소장의 이야기를
새
겨봄직하다. “가장 중요한 건 어떻게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것인가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을 배울지보다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원하는 빛의 세기를 마음대로 정할 수 있 다(고 우린 믿는다).그런데 플랑크가 제안한
새
로운 에너지 공식에 따 르면, 빛의 에너지는 진동수와 플랑크상수를 곱한 값 의 정확히 정수배만 될 수 있다. 하지만 정수배 사이 의 에너지는 하늘이 무너져도 가질 수 없다. 이 설명이 이해가 되는가? 플랑크가 ... ...
서서 공부하면 능률이 쑥~!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마크 벤덴 교수팀은 초등학교 2~4학년 학생 158명에게 키에 맞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새
책상을 지급해 서서 수업을 듣게 한 뒤, 수업 참여도를 조사했다. 교사의 질문에 답하거나 손을 들고 발표하면 수업에 집중한다고 간주했고 수업과 관계 없는 말을 하면 집중력이 떨어진 것으로 봤다.분석 결과, ... ...
‘앵그리버드’의 몸은 왜 빨간색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모바일 게임 ‘앵그리버드’. 짙은 눈썹을 가진 빨간
새
는 제 몸을 던져 돼지를 물리친다. 이런 앵그리버드의 빨간 몸은 분노를 표현하는 데 적절한 색인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더럼대 연구팀은 최근 사람들이 빨간색 옷을 가장 위협적으로 느낀다는 연구 결과를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정도다. 이마저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가령 유전자의 기능을 없애는 것에 비해서
새
로운 유전자를 집어넣는 것은 아직까지 걸음마 단 계다. 또 세포 밖에서 만들어진 크리스퍼를 세포 안으 로 전달하는 것도 큰 난관이다. 크기가 꽤 큰 Cas9 단 백질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아직까지는 우리에게 ... ...
도요
새
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봄이 되면 갯벌이나 습지에서 도요
새
를 쉽게 볼 수 있어요. 철
새
인 도요
새
가 시베리아로 이주하다가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는 거지요. 그런데 최근 도요
새
한 종의 비행경로 ... 이주를 하는 것이랍니다. 친구들도 올 봄에는 우리나라 습지에 잠시 찾아오는 도요
새
를 한번 만나 보세요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종이를 접거나 펴면 종이 위의 한 점의 위치가 변합니다. 이때 기준이 되는 축을 바꾸면,
새
좌표를 나타내기 쉬워집니다. ‘빛’의 경로를 추적해야 하는 투명망토 기술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빛의 경로를 마이크로(100만분의 1) 단위에서 계산하기는 어렵습니다.연구팀은 복잡한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