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요소
성분
처소
소재지
위치
d라이브러리
"
소재
"(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최대 정원보다 10배 더 무거운 물체가 매달려도 끄떡없다. 여러 겹의 강철을 꼰 선을 섬유
소재
의 심 주위로 칭칭 감아 로프를 만들기 때문이다. 다만 초고속 엘리베이터는 일반 엘리베이터에 비해 로프와 카의 무게가 더 무겁다. 버즈두바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로프 무게만 20t이다. 물론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무기반도체는 집적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좀 더 고밀도의 전자소자를 만들려면 새로운
소재
를 찾아야 합니다. 저희가 연구하는 자기조립 단분자막 소자도 그런 대안 가운데 하나입니다.”기능성 분자메모리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성균관대 화학과 이효영 교수는 무기반도체와 유기반도체의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통하거나 자유롭게 변형되는 재료들로 로봇을 만드는 과제를 진행 중이다.“유동적인 신
소재
로 만드는 초소형 로봇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체내의 막힌 혈관을 뚫는다든지, 재난 현장에서 구조하는 데 필요한 벌레 로봇들이죠. 또한 당뇨약이나 항암제가 인체에 지속적으로 흡수되도록 쾌속 조형을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수학 문제가 남자들이 좋아하는
소재
를 많이 써왔다면 요리나 패션같이 여자가 좋아하는
소재
로 바꾼다면 여자들도 훨씬 쉽게 풀 수 있을 거야. 마찬가지로 도형도 딱딱한 퍼즐이 아닌 조각천을 회전하거나 뒤집는 문제가 된다면 여자들에게 훨씬 친근하게 다가올 거야.양념 2 생활 속의 수학을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풍부한 만화가와 논리적인 과학자가 만나니 위와 같이 재미있고 기발한 SF만화의
소재
가 여기저기서 톡톡 튀어나왔어요. 이번 만남을 계기로 훌륭한 SF만화가 탄생하기를 기대해 봅니다~.만화가와 과학자는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을까요?달에서 5만 년 전 살았던 사람의 미라가 발견될 수 있을까요?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위해 매일같이 구슬땀을 흘리며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어떻게 살아있는 세포가 전자
소재
와 어울려 바이오 전자코로 탄생할 수 있을까. 미래에 바이오 전자코는 어떤 역할을 맡게 될까. 21세기 생명과학의 정점에서 조물주의 영역에 도전한 그들을 만나기 위해 서울대를 찾았다.변화무쌍하고 다루기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인간의 몸속에서 혈관을 따라 흐르며 암세포를 무찌르는 초소형 나노로봇, 두루마리 휴지처럼 돌돌 말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대단한 기술이지만 더 ... “물리(반도체), 전자(전자 회로), 재료(유기 물질) 같은 학문에 골고루 관심을 가져야 새로운
소재
가 눈에 더 잘 띈다”고 조언했다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조직이 치밀해진다. 김 교수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처럼 케이블보다 강도가 강한
소재
가 미래의 교량에 쓰일 수 있다”며 “외국에서는 일부 교량에 탄소를 함유한 FRP를 쓰고 있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바다에서 교각을 설치하는 기초 작업을 하는 동시에 육상의 작업장에서 교량 상판에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가려움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양모 같은 자극적인
소재
로 만든 옷은 피하는 편이 좋다. 또한 긴장이나 불안 등은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므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반도체 나노소자 그룹은 자신이, 나노화학
소재
그룹은 연구단에 합류해 있는 성균관대 신
소재
공학부 황동목 교수가 이끌도록 했다.이 같은 운영 방식은 2007년 황 교수가 창의연구단에 선정될 때부터 공언했던 것이다. 황 교수는 “황동목 교수가 현재 키우고 있는 나노와이어가 실험적으로 의미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