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대 방향으로 연료를 뿜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발사 시 가스의 운동량이 클수록 추진력도 커진답니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연료가
아래
방향으로 뿜어져 나오면서 생긴 운동량만큼 로켓 본체가 움직이기 때문이지요. 에어로켓을 날려보자! 허팝과 함께하는 두 번째 과학 시간이에요. 이번 시간에는 페트병과 고무호스를 이용해 ... ...
스토브리그. 데이터를 보고 선수를 픽해라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데이터’를 찾아 좋은 선수를 저렴하게 데려와야 한다. 숨은 데이터를 찾기 전 먼저
아래
문제를 풀어보자. 이것만 알면 야잘알~?빌리 조를 비롯한 많은 구단에서 주목하는 지표, ‘스탯(stat)’은 미국 팬그래프와 베이스볼레퍼런스에서 만든 것이다. 스탯은 수학이나 확률, 통계적인 계산으로 ... ...
[알고리듬 시그널] 시각은 용납하지 않는다! 집합 덮개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어떻게 선택하면 최소 집합으로 전체집합 U를 덮을 수 있는지 알아내는 문제예요.
아래
그림에서 각 점은 ‘세이브스쿨’ 속 몬스터들이 출몰하는 위치예요. 그리고 점들을 연결한 선분은 각 점에 감시 기지를 지었을 때 감시할 수 있는 거리를 나타낸다고 할게요. 기지는 선분 1개까지 떨어진 곳만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아주 잘게 쪼갰을 때 그래프가 어떻게 변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아무렇게나 생긴 곡선을 그었다고 할 때, 미분하려는 점에서 곡선에 접하게 선을 그으면 x축 방향으로 아주 아주 작게 움직였을 때 y축 방향으로 얼마나 변화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값을 계산할 수 ... ...
[과학뉴스]비행기가 지나간 곳엔 비가 내린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물방울은 얼음 결정이 되고, 주위의 더 많은 과냉각 물방울을 얼린다. 이 결정들이
아래
로 떨어져 원 모양의 구멍이나 줄무늬 등 홀펀치 구름을 만든다.연구팀은 “상층 구름에서 하층 구름으로 얼음결정이 떨어지면 얼음 입자들끼리 서로 달라붙어 비나 눈이 더 잘 내릴 수 있는 눈송이로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됐습니다. 그 선봉에 섰던 미국 컬럼비아대 라몬트지질연구소 연구팀은 미 해군의 지원
아래
1940년대 말부터 전 세계 대양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중앙해령과 관련된 괄목할만한 사실들을 발견했습니다. 대서양 한가운데에 폭이 넓은 거대한 산맥이 발달한다는 사실은 이전에도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개여도 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후 에르되시는 1980년 출판된 논문에서
아래
와 같은 추측을 제기했습니다. 사실 에르되시의 이 추측은 하인드만의 정리의 결과를 조금 약하게 만들어 일반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인드만의 정리로 자연수 각각을 100가지 색으로 아무렇게나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리버모어 영국 리즈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자북의 위치는 캐나다 북부와 시베리아
아래
에 있는 자기장의 영향을 각각 받는데, 캐나다 쪽의 자기장이 약해져 시베리아 자기장과의 줄다리기 시합에서 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행히(?) 최근 자북의 빠른 이동에 따른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한 단계 만에 쉽게 대칭수를 만들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349의 경우 대칭수를 만들기까지
아래
와 같은 3단계를 거쳐야 한다.그런데 196은 이런 과정을 아무리 반복해도 대칭수가 되지 않는 것으로 현재까지 알려져 있다. 이런 수를 ‘라이크렐 수(Lychrel number)’라고 부르며, 196 외에도 여러 개의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것이다. 당시 일본 학계는 마쓰무라 쇼넨(松村松年) 홋카이도대 곤충학 교수의 주도
아래
나비 신종 경쟁이 한창이었다. 이 때문에 생김새가 조금만 다른 나비가 발견되면 신종으로 등록되는 일이 다반사였다. 문만용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부소장은 “기본적으로 분류학을 연구하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