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상 퍼즐여행] 아슬아슬! 점점 더 이상해지는 수학 세계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어떻게 된 거지? 밖에서는 우릴 걱정하고 있을까? 아무런 기색도 느껴지지 않아?“
외부
세계와 차단된 독립적인 공간 같아. 바깥의 도움은 기대하지 말고 우리 스스로 나갈 방법을 찾아야만 할 것 같아.”“하지만….”폴과 폴b는 침울하게 앉아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렇게 있으면 우울증에 빠질 ... ...
Part 2. 유기농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약간 많을 수 있다. 이 연구사에게 영양에 대해 문의했을 때에도 “농약을 쓰지 않으니
외부
곤충이 달려들고, 이를 물리치기 위해 작물은 면역물질을 만든다. 그게 사람에게 이로운 항산화물질이 된다”고 말했다.그런데 이와 별개로, 미세 영양소가 많은 게 좋은 일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적합한 방사지를 정하는 과정도 지난하다. 그렇지만 자연 상태에서 멸종위기 동물이
외부
위협에 견뎌 나갈 수 있도록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돕는 과정은 시아마가 지적한 것처럼 ‘유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또 다른 복원의 과정이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때 큰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 또 배아줄기세포로 만든 세포치료제는 환자의 체내에서
외부
물질로 인식하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 문제가 생긴다.이번엔 성체줄기세포를 살펴보자. 성체줄기세포는 성인이 돼서도 인체 내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로, 신경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조혈모세포 등이 ... ...
토성 위성 타이탄, 형제 위성 먹고 자랐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연구했다. 그 결과 목성은 중력이 더 강력하기 때문에 위성의 궤적이 상대적으로
외부
의 영향에 대해 안정적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궤도가 불안정해져 서로 충돌하는 일이 적었고, 각 위성 역시 그 크기를 유지했다는 것이다.이 연구는 ‘네이처’ 10월 17일 온라인 뉴스에 실렸다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있다. 이 구멍은 테두리가 없다는 점에서 충돌 구덩이와 다르다. 이들은 표면 암석이
외부
천체와 충돌해 가열되면서 내부의 휘발성 물질이 급격히 기화돼 빠져나갈 때 생긴다. 베스타를 빼고는 대기가 없는 천체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다. 베스타의 표면에는 휘발성 물질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 ...
앞뒤로 왔다 갔다~! 고백카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맞았어! 그렇게 늘었다 줄면서 힘을 전달하는 고무줄의 성질을 ‘탄성’이라고 한단다.
외부
힘을 가했을 때 변형된 물체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오는 성질이지. 이렇게 되돌아가는 힘을 ‘탄성력’이라고 해. 이 고백카는 건전지 없이 고무줄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앞뒤로 왔다 갔다 움직이는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고양이 역시 죽어 있는 상태와 살아 있는 상태의 중첩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양자계는
외부
와의 상호작용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당신이 박스 안의 고양이 상태를 슬쩍 훔쳐보는 행위가 고양이를 죽게 할 수 있다.201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두 과학자는 이렇듯 생각으로만 할 수 있던 사고 ... ...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포식자가 대표적인 우산종이다. 먹이사슬 단계 중 포식자 아래에 있는 생물들을 다양한
외부
위협으로부터 우산처럼 지켜준다는 의미다. 최상위 포식자가 있는 생태계는 먹이사슬 단계별 생물들의 개체수를 조절해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어준다. 멸종위기 동물을 복원할 때 우산종을 우선적으로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역할을 하리라는 사실까지도 막연하나마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외부
자극을 감지하는지 메커니즘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예를 들어 에피네프린 호르몬이 심장박동을 강화하고 호흡을 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사실은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런 호르몬에 반응하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