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화
화합
적합
합치
동일성
화성
원
d라이브러리
"
일치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학자들은 평면을 파서 오목한 구형으로 만들고 그림자를 만드는 막대의 축을 북극에
일치
시키는 방식의 해시계를 만들었다. 이렇게 되면 지구 주위를 도는 태양의 위치를 거의 완전하게 재현할 수 있다. 앙부일구의 내부에 설치된 영침(影針, 그림자를 만드는 침)의 방향을 지축과 평행한 정북극 ... ...
원은 왜 완전한 도형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같이 도형을 어떤 점을 중심으로 적당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원래의 도형과 완전히
일치
할 때, 그 도형을 ‘회전대칭’이라고 한다. 정삼각형과 같이, 꽃과 눈송이도 반사대칭과 회전대칭을 동시에 보여주는 예이다. 대칭을 만드는 대칭 변환수학적으로 대칭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도형을 어떤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팔각진의 내부에 3행3열의 마방진을 결합시킨 것.)● 일반원리: 이는 각각 9개의 숫자합을
일치
시키는 문제로 생각할 수 있다. 9개의 8각형 각각의 동일한 위치에 차례로 1부터 9까지 배열하고, 다음 번 자리 9군데에는 반대로 18부터 10까지를 위치시키는 식으로 숫자를 계속 써 나간다. 그름에서처럼 1- ... ...
복제양 돌리 어미와 똑같지 않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조절하며 그 양은 세포가 가지고 있는 DNA의 1%에 불과하다. 돌리는 이 mtDNA가 어미양과
일치
하지 않는 것이다.과학자들은 돌리의 mtDNA가 어미와 다를 것이라고 예상해왔다. 돌리는 어미양의 체세포와 핵을 제거한 난자를 융합시키는 방법으로 복제됐다. 체세포는 난자보다 훨씬 적은 양의 mtDNA를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러자 작년과는 달리 7월 31일-8월 3일의 경기북부 집중호우 시기와 태풍 상륙 시기가
일치
해 더욱 큰 피해를 유발했다. 아직 정확한 분석 결과는 없지만, 위에서 서술한 1999년 태풍의 발생과 행동은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분포와 대류활동이 1998년과는 또 다르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어 또다시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흔들리고 공룡도 더 이상 목숨을 부지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실제로 공룡 멸종 시기와
일치
하는 화석층에서 지구에서는 희귀한 원소인 이리듐층이 발견되면서 이러한 사실이 신빙성을 얻게 됐다. 문제는 운석의 충돌 자국이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운석의 충돌자국은 풍화작용으로 인해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러나 전체적으로 한반도의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아직
일치
되지 않고 있다. 연세대 이태영 교수는 “만일 장마전선 소멸 후에 나타나는 집중강우가 정말로 한반도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다는 증거라면, 작년과 올해의 집중호우는 본격적으로 변화된 상태가 아니라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R도로 볼 때도 아직 젊은 주계열성임을 알 수 있다. 붉은 별로 유명한 안타레스는 예상과
일치
하게 초거성에 속해 있다. 즉 푸른 별은 젊은 별이고 붉은 별은 늙은 별임을 알 수 있다. 알데바란은 거성 단계이고 베텔규스는 적색거성으로 곧 수명이 다하리라 예상된다 ... ...
4. 화면색과 실제 색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동원된다. 즉 사과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 스펙트럼이 사람 눈에 일으키는 자극들과
일치
되는 모니터 삼원빛의 혼합량 RGB를 알아내야 하는데, 이는 모니터마다 다르다.또 이렇게 구한 RGB가 단순한 수학적 공식에 의해 CMYK로 바뀌어 프린터로 보내지면 색영역의 차이 때문에 나타내지 못하는 색들이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분비되기 시작한다. 즉 인간의 수면시간과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시간은 대체로
일치
한다. 따라서 멜라토닌을 낮과 밤을 구별하는 호르몬이라고 할 수 있다. 또 계절에 따라 분비가 달라진다. 빛의 양이 적은 겨울에는 분비가 줄고 여름에는 증가한다.1백개 리듬 존재하지만 멜라토닌 만으로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