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
참작
조회
문의
심사
평
심의
d라이브러리
"
참고
"(으)로 총 1,9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힐베르트가 ‘결정 문제’라는 수학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파트 1
참고
). 튜링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1937년 어떤 알고리듬이라도 표현할 수 있는 튜링 기계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독일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는 수학에 모순이 없다는 완전성을 주장했다. 튜링은 이 주장을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생긴 주향이동단층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해 동해가 형성됐다는 것이다(왼쪽 그림
참고
).그러나 이 주장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일본 열도가 떨어져 나간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약점이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가 동해의 대륙붕, 대륙사면, 울릉 분지의 지각과 지질 구조를 조사하면서 새로운 분석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지적이 옳다면 여름날 에어컨이 없이도 방 안이 저절로 시원해질 수 있다(70쪽 박스기사
참고
). 훗날 테이트와 맥스웰의 선배이자 저명한 영국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은 이 ‘작은 존재’에게 ‘악마’라는 이름을 붙였다.맥스웰은 48세로 요절하기 전까지 이 작은 악마를 끝내 퇴치하지 못했다.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반물질)이 충돌하면 2개의 암흑광자가 탄생한다. 암흑광자는 ‘키네틱 믹싱(128쪽
참고
)’이라는 단계를 거쳐 일반 광자가 된다. 광자는 다시 양전자와 전자를 만든다. 물리학자들은 파멜라 위성이 검출한 비정상적으로많은 양전자가 이 과정을 통해 탄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제퍼슨연구소의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그 수는 11의 배수고, 그렇지 않으면 11의 배수가 아니다. 2011년 11월호 ‘숫자 이야기’
참고
.제3코스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는 모두 13개!우리는 지난 달에 일명 플라톤 다면체라고 불리는 정다면체에 대해 배웠다. 이번에는 그리스의 또 다른 수학자인 아르키메데스가 플라톤 다면체를 이용해 만든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하지 않는 대신, 간단한 말밖에 할 수 없어. 대신 내 생각을 텔레파시로 전달할 수 있으니
참고
해.’“텔레파시를 하려면 꼭 전기를 통해야 하는 거야? 으~, 찌릿찌릿해. 익숙해지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네. 악! 또 왜?”‘필요할 때만 텔레파시를 보낼게. 저기 빛 쪽으로 가 봐. 반가운 사람을 만날 ... ...
제14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통계로 보는 세상, 어떤 모습일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전기 사용량이 많을까? 나이를 먹으면 입맛이 어떻게 바뀔까?”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은 누가 알려 줄까?정답은 통계다. 수학 ...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통계포스터를 제작했다.이제 통계포스터대회에 입상한 작품들을
참고
해 나만의 통계포스터를 만들어 보자 ... ...
2013학년도 달라지는 고려대 입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2012학년도 입학식에서 고려대 김병철 총장은 신입생들에게 창의적인 융합인재로 거듭나 지혜로운 글로벌 리더로 사회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될 것을 당부한 바 있다. 20 ... 학생을 지도한 선생님이 기록한 학교생활기록부 내용을 중심으로 자기소개서와 학교장 추천서를
참고
해 평가합니다 ... ...
[5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어렵지 않다. 다만, 마지막 한가지 충고. 인터넷에 있는 정보나 자료를 그냥 쓰지는 말자.
참고
해서 독자의 시각을 끌 수 있는 주제나 메시지를 조금만 더 끌어내 보자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빛을 낸다. 이것은 바로 LED와 OLED의 원리다(2011년 10월 실험 과학여행 LED설명
참고
).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떠오르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로 1987년 미국 이스트먼코닥사의 중국인 과학자 칭 W. 탕이 개발했다. 저분자 유기물질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자 LED처럼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