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성공
d라이브러리
"
큰 공
"(으)로 총 1,1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마젤란호는 같은해 8월 10일 금성궤도 진입에 성
공
, 본격적인 탐사에 들어갔다. 마젤란호에 장치된 ... 90%의 지도를 작성할 예정이다. 이는 마치
큰
공
표면을 굵은 실로 둘러 나가는 것과 같은 작업이다. 이산화탄소가 96%지금까지 알려진 금성 대기는 한마디로 지구와는 전혀 다르다. 대기의 주성분은 ... ...
주변기기 활용법-마우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구분할 수 있다.기계식마우스에는 작은
공
이 내장된 볼(ball)마우스와 작은 원반(wheel)이 달린 ... 최근 판매되고 있는 마우스들은 자체적으로
공
급하는 마우스 드라이브를 통해 대부분의 ... 필요하다.마우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케이블의 합선과 단선이다. 사용중 케이블이 서로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관리들은 한 사람이 한마리씩 집으로 가지고 가서 정성스럽게 기른 뒤
큰
새가 됐을 때 그들의 보금자리로 돌려 보냈다. 그랬더니 아홉마리의 ... 새들은 보통 나무 동굴에 둥지를 튼다. 그러나 옆면에 출입구가 있는
공
모양의 둥지를 트는 종류도 있다. 갈색 찌르레기는 이 두가지 방법을 다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스케이트를 타는 두 사람이
공
을 주고 받을 때 서로 밀려나는 것과 ... 자세히 살펴보면 본질상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이 성질은 ... 0억년 전부터 부풀어 왔다는 가장
큰
증거가 된다.예나 지금이나 ... 한다. 문제는 그 에너지가 수용된
공
간의 크기다. 이는 화로불에 빗대어 설명할 수 있다. 예를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돌과 햇볕에 말린 진흙벽돌을 사용했다. 특히
큰
석조건축물을 지을때는 돌과 돌 사이를 밀착시켜 ... 같은 산상도시가 나온다. 이곳의 모든 민가와
공공
건축물은 석조로 돼 있다. 현기증이 날 정도로 높은 지역에 위치한 이 도시의 사람들은 오랫동안 농사를 지으면서 자급자족을 해 왔다. 농토는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습하고 따뜻한
공
기가 밖으로 나오면서 밖의 찬
공
기와 마주치므로 그들의 콧바람은 안개처럼 희게 ... 특징이다.새끼의 버릇을 고쳐주고고래중 가장
큰
흰 긴수염고래의 몸길이는 30m, 무게는 1백50t이나 ... 돌고래 새끼는 꼬리부터 태어난다. 허파속에
공
기가 없으므로 곧 가라앉기 쉽고 질식해서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받았어야 한다. 만들어진 석유가 저장될 수 있는
공
간, 즉 틈이 많은 암석과 이를 덮고 있는 치밀한 ... 남쪽의 동지나해에는 울릉분지보다 규모가 더
큰
퇴적분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제까지 우리나라가 설정한 광구내에서만 12개
공
의 시추가 행해졌다. 아직 석유나 가스가 발견된 것은 아니지만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41%나 증가하고 있다.철도의 감소폭 보다 고속도로의 증가폭이 훨씬
큰
이유는 새로운 수송수요가 모두
공
로(公路)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포화상태의 철도수송먼저 철도가 포화되고 있는 이유부터 따져 보자. 필자는 그 첫번째 이유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 우리나라의 주요철도들이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고급인력 대거 빠져나가기도그러나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한꺼번에 몰려있는 ... 산·학·연 교류가 활발하지 못한 것도
큰
문제 가운데 하나로 지적된다. 과학문화도시를 ... 투입되고, 93년 대전박람회가 끝나 과학관과 과학
공
원이 고스란히 남게되면 그 내실이야 어떻든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생각만을 해오던 우리에게, 특히 자연과학을
공
부한 사람들에게 15세기 세종 때 인쇄기술자들이 ... 충분했다. 중국 사람들은 책을 만드는데 그렇게
큰
공
을 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적 값싸게 책을 펴내고 있었던 것도
큰
요인의 하나였다.한편 일본사람들은 고려판 대장경을 여러번 구해가고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