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메신저’가 촬영한 수성 사진이 때 아닌 외계생명체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사진은
NASA
가 최근 메신저가 지난 7월 촬영한 사진을 홈페이지에 올리면서 눈길을 끌기 시작했다.
NASA
측은 사진 설명에서 “수성에서 촬영한 사진 오른쪽 아래 크레이터에 나타나는 괴상한 검은 물체(원 안)의 정체는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10배 이상 높으며 자외선을 감지하는 능력을 높인 광학설비도 장착됐다. 지난 9월 9일
NASA
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나비 성운 등 천체 사진을 공개했다.최초의 X선 레이저 작동 시작미국 SLAC 국립가속기연구소는 지난 4월 세계 최초의 X선 레이저 선형가속기결맞음광원(LCLS)을 발진시켰다. 3년 동안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
's Ares Rockets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아레즈 1호는 4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아폴로호와 비슷한 우주선을 발사시킬 것이다.
NASA
는 이와 함께 116m 크기의 거대한 아레즈 5호도 개발하고 있는데, 이는 달 착륙선처럼 무거운 물체를 지구 궤도에 올려놓을 것이다. 우주비행사들은 지구 궤도에서 착륙선과 도킹돼 달로 발사될 것이다.새로운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위성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구할 수 있다면 돈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지 않을까? 지난 해 10월 미국 앨라배마대학교와
NASA
의 연구팀은 달의 먼지와 황으로 만들 수 있는 콘크리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달의 흙에서 뽑아 낸 황을 이용해 달 먼지를 굳혀 콘크리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보통 콘크리트에는 물이 들어가지만, 황을 ... ...
NASA
의 차세대 달 탐사 로켓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탄 것처럼 덜컹거릴 수밖에 없다.오티스 엘리베이터 김남강 팀장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의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 유체(공기)의 흐름을 분석해 엘리베이터의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카를 제작한다”며 “카 외부를 스펀지 같은 흡음재로 보강하는 것도 한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가운데 지구 가까이 다가오는 소행성 200개를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요. 미국항공우주국(
NASA
)과 유럽우주국(ESA) 과학자들이 현재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을 우주식민지로 만들 수 있을까? 달보다 소행성에 가는 비용이 오히려 적게 들어요. 따라서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2030년대 후반 지구에 소행성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는 계산 결과를 내놓기도 한다.
NASA
는 딥 임팩트 실험에 3억 3300만 달러(약 3830억 원)를 쏟아 부었다. 글 이정호 기자 sunrise@donga.com 최영준 연구원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부에서 혜성, 카이퍼 벨트 천체, 소행성, 지구접근천체 등과 같은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자료를 비교해 야광운 형성에 대한 단서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앞으로
NASA
는 몇 달간 레이더로 인공구름을 이룬 먼지를 추적한다고 한다. 이를 통해 야광운의 신비가 어느 정도 풀릴지 지켜볼 일이다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