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낮"(으)로 총 1,06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반가운 탄생 북극의 겨울은 춥고 길다. 극야현상 때문에 낮에도 밤처럼 짙은 어둠이 내리는 날이 이어진다. 깊이를 알 수 없을 만큼 아득히 쌓인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 추위가 모든 생명의 흔적을 쓸어가 버린 듯 조용하다. 북극의 자연환경은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결코 만만치 않다. 그러나 생명의 탄생은 북극이라고 해서 피해가지 않는다. 지난 ...
- 맛있는 빛의 요리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파장의 가시광선을 반사하고 반대로 검은 물체는 모든 색의 빛을 흡수한다. 물체가 지닌 고유의 색채는 광원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낮에는 하얗게 보이던 운동화가 붉은 조명 아래에서는 붉게, 푸른 네온사인 아래에서는 푸르게 보인다. 빨간색 빛과 초록색 빛, 파란색 빛이 합쳐지면 흰색이 된다. 빛을 이루는 삼원색이 적당히 섞이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
- 태양빛과 그림자가 알려주는 시간과 방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태양의 위치와 시간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한 지역의 시간은 태양의 남중시각-태양이 정확히 남쪽하늘을 지나는 시각-을 정오, 즉 낮 열두시로 하여 정해집니다. 이 시간을 지방시라고 하는데, 지역마다 태양이 남중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같은 나라에서도 경도에 따라 지방시는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독도에서 태양이 남중하는 시각에 서울에서는 아직 남중 ...
- 태양과 계절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060313
- 가장 높을 때의 고도는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차이가 나게 된답니다. 그래서 하지 때는 태양이 거의 머리 위에서 비치고, 태양이 낮은 동지 때는 비스듬히 비칩니다. 태양과 달의 숨바꼭질, 개기일식 3월 29일 개기일식, 우리나라에서는 왜 볼 수 없을까요? 3월 29일에 아프리카 북부와 터키, 카자흐스탄 등지에서는 개기일식을 볼 수 있어요. 개기일식 ...
- 잠(2)-신나는 꿈을 꾸었어!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게으르다고 할 수는 없겠죠? 잠을 얼마나 자야 하는지는 사람마다 차이가 많이 나고 또 환경에 따라 변하는 것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낮에 피곤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만큼 적당히 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잠은 이렇게 잔다 잠이 잘 오지 않아 괴로운 적이 있었나요? 아무리 자려고 노력해도 눈이 말똥말똥해질 때요. 이럴 때 잠을 잘 잘 수 있는 ...
- 아바타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문제가 되는 거였지. 나는 네가 다른 학교에서 왔기 때문에 그 부분을 잘 모를까봐 비밀쪽지를 보낸 거였어. 참,너랑 나는 낮에 학교에서의 복장 그대로였는데 나리는 무지갯빛 레이스 잠옷을 입고 있었잖아. 내 눈에 그게 좀 거슬리기도 했나봐. 내가 네게 다음과 같은 쪽지를 연달아 보냈던 걸 보면. 다영아, 아바타 성형이 뭔지 알지? 우리 반에서 아 ...
- 잠(1)-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어린이과학동아 l20051130
- 불리는 부분인데요. 빛에 반응해 뇌신경호르몬의 분비와 체온, 렘수면 상태의 길이등을 조절합니다. 시신경교차상핵이 낮과 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 수면조절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잠을 조절하는 것이죠. 우리가 잠든 사이에 잠을 자면 우리는 각기 다른 잠의 단계로 빠져들게 됩니다. 이러한 단계는 뇌파와 눈의 움직임, 근육의 긴장 정도에 따라 렘수면(R ...
- 계절의 변화어린이과학동아 l20051111
- 태양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다른 위치에 비해 태양의 빛을 많이 받지 못한다. 따라서 ㉡의 여름과는 반대로 온도가 낮고 낮의 길이가 짧은 겨울이 오게 된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크리스마스는 여름? 적도(지구의 자전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지구의 중심을 지나가는 선)를 중심으로 위쪽은 북반구,아래쪽은 남반구라고 한다. 남반구인 오스트레일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2)어린이과학동아 l20051010
- 꿀벌은 190회에 달하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인간은 이론적으로 1초동안 눈꺼풀을 40번 깜박일 수 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를 돌고 낮과 밤이 바뀐다. 대나무가 하루에 121㎝를 자랐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대나무의 마디마다 생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대장균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20분마다 2배로 증가하며 하루에 72번의 분열을 할 수 있다 ...
- 무인도 탈출 작전! SOS~!어린이과학동아 l20050912
- 인이 먼저 타는 이유는 인의 발화점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은 마찰열만으로도 불이 붙는다. 팁3 - 다양한 구조 신호 보내기!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을 피워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또 거울이나 유리를 이용해서 빛을 반사시키면 멀리서도 눈에 잘 띈다. 아리스가 보내온 편지 {BIMG_C15} 과학해결사들 덕분에 우 ...
이전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