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모
모피
수염
가스랑이
모서리
귀퉁이
털실
어린이과학동아
"
털
"(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생물 정리 기사
기사
l
20190628
1.가오리들↓이 쪽 참고점무늬소녀 가오리얼룩말가오리부채가오리표범무늬가오리등 많은 가오리가 있는데 제일 큰 가오리는 부채가오리다.그리고 이 가오리들은 모두 꼬리에 맹독을 가졌다2.상어들↓이 쪽 참고제브리샤 ... 이제 무슨 뜻인지 알겠지)수컷이 새끼를 낳는다9.뱀목 거북이목이 길고목을 접어야 한다물갈퀴로 수영한다10.수달꼬리로 균형 잡음겉
털
의 방 ...
닥터구리 - 190627 - 1
탐사기록
l
20190627
털
매미 ...
서울대공원 탐사하기
기사
l
20190624
(답은 마지막 사진에) 위의 사진은 송충이에요. 계곡 근처에 있는 돌에서 발견했어요. 좀 징그럼게 생기지 않았나요? 다리인지
털
인지 구분이 안 되네요. 눈은 어디 있는지 참 궁금합니다. 이 물고기들은 제가 채집한 물고기 입니다. 가장 큰 물고기는 버들치랑 비슷하게 생긴 버들개입니다. 머리 큰 아이들은 올챙이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작은 아이들 ...
곰개미 vs 일본왕개미
탐사기록
l
20190624
지난 주 대전에서 개미현장교육이 있었는데요.그 때 연구원님께서 곰개미와 일본왕개미를 잡아서 보여주셨어요.엄마가 사진이 잘 나왔다고 하셔서 함께 보려고 수다방에 올려요.위에 있는 개미가 일본왕개미에요. 배 부분에 금빛(?)
털
보이시나요? ...
새끼 박새들 무사히 이소 성공
기사
l
20190618
019년 6월 18일 하교 후 집에 와 제일 먼저 새 집을 확인합니다. 어 그런데 이게 어떻게 된 일인가요? 3마리뿐입니다. 둥지 밖으로 작은 솜
털
도 날리고 있고 혹 무언가로부터 습격을 당한 것일까요? 불안합니다. 잠시 뒤에 다시 보니 이젠 한 마리뿐이네요. 어 설마? 벌써! 얼른 동영상 촬영을 하면서 지켜봅니다. 다행히 습격이 아니라 모두 ...
다람쥐가 많은 오대산을 다녀와서
기사
l
20190614
벌새라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더듬이가 있는 것이 새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눈이 맹금류같이 생겼고
털
처럼 보이는 것이 나있습니다. 또 나비처럼 길다란 주둥이가 있습니다. 선재길에서 만난 꽃과 식물들입니다. 첫 번째는 우리 나라 특산식물로 할미밀망입니다. 두 번째는 북한의 국화인 산목련인데 함박꽃나무라고도 ...
이 애벌레들은 무엇이될까요?
포스팅
l
20190609
낮에 공원에 놀러갔다 찍은 애벌레에요요즘 길에서 애벌레 많이 봤는데초록형광
털
애벌레는 처음 봤어요다른 포식자 눈에 띄기 쉬울거 같은데너무 신기했어요평소 애벌레 보면 그냥 지나치거나 조금 보고 말았는데이번엔 인터넷서 찾아봤는데 정말 많은 애벌레가 있는걸 알게 되었어요아직 저 초록애벌레는 정체를 못 찾았는데 아시는분~!!??? ...
누구에 새 집일까?
탐사기록
l
20190609
우리 외숙모,외삼촌 집밖에 있는 새 집입니다.누구에 새 집일까요? 이사진은 새집 주인에 기
털
입니다.정말 미스터리 하죠?이집 새 주인을 아시는 분은 댓글 달아주세요! ...
[6월 자율현장학습] 이 개미를 공개수배합니다!
기사
l
20190606
관찰하고 채집하면서 개미가 위협을 느껴 점점 빨리 움직이고 공격적인 모습을 보였을 수도 있습니다. 또, 운동장의 흙먼지가 많아서
털
이나 광택의 관찰을 제대로 못한 것일 수도 있구요. 결국, 이 개미가 곰개미일 것 같다는 강한 추측만 남고, 사실을 밝혀내긴 어려웠습니다.(연구원님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ㅠㅠ) 그래서! 이미 개미에 대해 전문가이신 ...
(5월 현장학습) 관악산에 사는 개미는 누구?
기사
l
20190603
합니다. 컴퓨터 현미경을 통해보니 정말 꼬리를 치켜드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토왕개미와 갈색발왕개미, 서로 다른
털
개미의 세력다툼을 관찰하였습니다. 이토왕개미는 몸이 반짝반짝 빛나고 검정색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지만, 일본사람이 이름을 지어 '이토'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갈색발왕개미는 연구원님이 직접 후레쉬를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