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중에서도 스스로 손상 복원하는 '전자 피부'동아사이언스 l2024.03.15
- 분자 공학 기반 수중 환경 내 초고속 자가 치유가 가능한 압전 이온성 엘라스토머의 설계 개념도, 보로네이트에스터 결합과 소수성기를 기반으로 한 수중 환경 내 초고속 자가 치유 메커니즘 모식도, 이온 구속 및 방출 효과에 기초한 기계적자극 감지 메커니즘, 동적 소수성-가수분해 도메인의 ... ...
- 국제우주정거장서 자율비행한 로봇 데이터셋 최초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4.03.15
-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전기전자공학회(IEEE) 로봇과 자동조작’ 온라인판에 지난달 12일 게재됐다. 해당 데이터셋은 애스트로비 웹사이트(https://astrobee-iss-dataset.github.io/)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애스트로비 로봇이 활동하는 ... ...
- [과기원NOW] KAIST, AI가 알아서 업데이트하는 선택 알고리즘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약 20% 성능이 향상된 것이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상현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스탠퍼드대학 연구팀과 협력해 논리적 이상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AI를 활용한 이 기술은 산업용 영상에서 발생하는 논리적 이상을 정확하게 감지해 스마트 팩토리의 불량 검출 ... ...
- 2022년 여성과학기술인력, 전년 대비 채용·재직 모두 증가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등이 해당한다. 이공계 여성 입학생 비율은 31.3%, 재학생 비율은 31.4%(자연 52.1%, 공학 23.3%)로 조사됐다. 여학생의 졸업 직후 취업률은 67.2%(남학생 72.7%)로 집계됐다. 여성과학기술인력 채용·재직·승진목표제 추진실적 조사 결과도 발표됐다. 2022년도는 신규채용 비율 34.4%, 재직 비율 27.5%, ... ...
- 맥주 찌꺼기로 전자 폐기물 재활용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내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생명공학 및 생명공학기술 프런티어스'에 12일 공개했다. TV, 스마트폰 등 전기 제품을 재활용하며 나오는 금속 폐기물은 폐기물에서 금속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이 복잡해서 재활용하기 어렵다. 생체흡착제를 이용해 금속 폐기물 외의 ... ...
- [과기원NOW] GIST 연구진 "지구온난화, 대규모 대기 흐름 증폭시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3
- 김진곤 화학공학과 교수, 김태성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교수, 문홍철 서울시립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열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메조 다공성 금속 산화물을 유연한 기판에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메도 다공성 금속 산화물은 2~50나노미터(nm) 크기의 구멍을 가진 금속 산화물로 ...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③정우성 "이공계 처우, 20년 간 바뀐 것 없어"과학동아 l2024.03.13
- 4월 총선) 국민의힘 평택시(을) 후보로 전략공천된 정우성 포스텍 물리학과·산업경영공학과 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8일 화상회의로 만난 정 교수는 "이제는 제안하는 사람이 아닌 직접 뛰는 사람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Q. 오랫동안 과학기술정책을 고민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 "몇 년 전 ... ...
- 공학한림원 일진상 김용화·박진호, 해동상 이용훈·박건형동아사이언스 l2024.03.13
- 화학생물공학부 석박통합과정), 권기현(포스텍 화학공학과), 이찬(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석사과정) 씨이다. 시상식은 13일 오후 5시 30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진행된다. 일진상과 해동상을 받은 각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2500만원이 수여되고, 원익상을 받은 수상자에게는 1000만원(최우수상 ... ...
- '두개골 타투' 전자회로, 뇌·컴퓨터 연결 새 패러다임 제시동아사이언스 l2024.03.12
-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연세대 특훈교수), 박장웅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정현호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및 장진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부드러운 인공 신경 전극과 3D 프린터로 인쇄한 전자회로를 쥐 뇌에 이식해 뇌파를 33주(약 8개월)간 측정하는 데 ... ...
- 바느질 없이 1분이면 절단 신경 봉합하는 패치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3.11
- 신경 봉합 패치를 이용한 신경 봉합 과정. 10일 후 신경이 연결되고 12주 후 완전히 재생된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바느질 없이 신경을 봉합할 ... (왼쪽부터) 손동희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신미경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박종웅 고려대 의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