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칼
병장기
흉기
군비
병기류
군수품
병기
뉴스
"
무기
"(으)로 총 1,10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 세계인을 경악케 한 1mg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경우 보유 현황을 조작하는 게 어렵지 않은 상황이다. 최 교수는 “북한의 화학
무기
사용 가능성을 제외하더라도 국내 자체적으로 ‘제2의 옴진리교 테러’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 확신하기는 어렵다”며 “화학물질의 이동과 사용에 대한 철저한 감시와 규제는 물론 연구자들 스스로 ... ...
日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성공
동아일보
l
2013.09.16
보도했다. 일본 우주개발 전문가인 김경민 한양대 교수는 “엡실론은 언제든
무기
로 전용될 수 있다”며 “일본 국산 기술로 개발한 데다 발사비용을 낮추고 대량생산도 쉬워 군사적 의미가 작지 않다”고 말했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lovesong@donga.com [화제의 뉴스] - 靑, 혼외의혹 母子 개인정보 ... ...
[단독] 취업준비생 토익점수 최상-최하위 지역 비교해보니
동아일보
l
2013.09.10
633점으로 47점이나 올랐다.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 “인생 이모작엔 영어가
무기
”… 40대는 열공중 ▼ 학원에 최근 등록했다. 공부에 하루 6시간 이상 투자한다. 자다가도 시험 보는 꿈을 꾸다 벌떡 깨곤 한다. 이영준 씨(42) 얘기다. 무슨 학원, 무슨 공부, 무슨 시험일까. 이 씨는 얼마 전 다니던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어, 현재 쓰이고 있는 실리콘 기반의
무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돼 왔다. 문제는 전하 이동 속도가 느려 상용화가 늦어지고 있다는 것. 연구진은 ‘액정형 유기반도체’를 트랜지스터의 활성물질로 사용해 전하 이동 속도를 ... ...
2차 전지 성능 크게 개선한 과학자 인촌상 받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말했다. ●공적 2차 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다. 경북대
무기
재료공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아이오와주립대 재료공학과에서 세라믹공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성SDI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과 금오공대와 한양대 응용화학과 교수를 거쳐 2009년 2월 UNIST로 ... ...
“삽질공화국이라고요? 건설은 미래행복기술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9
우선적으로 스카우트합니다. 군대에서 대부분 기술교육을 많이 하기 때문이죠.
무기
체제나 이런 것들이 하이테크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고등학교 나와서 군대에 가면 대학에 준하는 교육을 시키고 자격증을 줍니다. 우리는 군복무가 잃어버린 2년이지만 이스라엘은 귀중한 시간입니다. 이런 점을 ... ...
[자연 과학]불확실한 세상… 확률은 어떻게 과학을 넘었나
동아일보
l
2013.08.18
이길지 질지 모르는데 100% 확실한 것을 언제 기다리겠나. 이처럼 확률은 효율성을
무기
로 기존 과학의 입장을 무너뜨렸다. 솔직히 이 책은 상당히 어렵다. 이 분야에 관심이 없는 이라면 용어도 낯설고 등장인물도 생소하겠다. 분량 역시 만만찮다. 하지만 다행히 저자도 저널리스트이지 과학자는 ... ...
말많고 탈많던 ‘홍상어’ 최종 시험발사 성공
동아일보
l
2013.08.15
2발에 이어 실탄 1발까지 표적에 명중함으로써 홍상어는 ‘기사회생’하게 됐다. 유도
무기
의 전투용 적합판정 기준인 75% 이상의 명중률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다음 달 중순으로 예정된 나머지 실탄 1발의 시험발사 결과와 상관없이 홍상어는 실전운용이 가능하다는 최종 결론이 ... ...
日 ICBM 전용 가능 로켓 27일 쏜다
동아일보
l
2013.08.12
우주개발 전문가인 김경민 한양대 교수는 “엡실론 정도 크기의 고체연료 로켓은 언제든
무기
로 전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금까지 일본의 주력이던 H-2 시리즈는 액체연료 로켓으로 연료를 주입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 때문에 군사적 전용 가능성이 낮았다. 일본의 우경화 행보도 엡실론 ... ...
[대덕연구단지 40년]허허벌판이 과학기술 메카로
동아일보
l
2013.08.12
연구원으로 지내다 1979년 귀국해 핵연료개발공단에 근무한 장인순 전 원자력연구원장(73·
무기
화학 전공)은 “근무환경은 열악했지만 조국의 과학과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긍지로 주당 80시간 이상 일했다”고 회고했다. 그가 들려준 ‘청계천 일화’는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연구소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