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공위원회
위원회
소사이어티
공중
하늘
창공
뉴스
"
상공
"(으)로 총 1,156건 검색되었습니다.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몽골 관측소를 시작으로 우주감시 장비를 세계 각지에 추가로 건설하고 한반도
상공
을 주변 여러 국가에서 살펴보는 ‘24시간 우주감시 네트워크’로 확대할 예정이다. 11월에는 모로코, 내년 상반기 중에는 카자흐스탄에 이같은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지구 남반구 2개 지점에 동일 ... ...
구름에서 물 모아~ 모아~ 모아~ 식수로
2014.09.15
동력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기술진은 1㎡ 크기의 그물이 달린 시제품을 만들어 2~3km
상공
에 올린 시험에서 1시간 만에 5L의 물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카젠체프 씨는 “이 아이디어가 실제로 구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려면 지금보다 규모가 큰 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이 장치가 ... ...
북극 얼음 좀 녹았을 뿐인데…
2014.09.03
냉기가 한반도로 내려올 수 있다. - 극지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또 해빙의 감소로 북극
상공
에 있는 ‘북극 소용돌이’ 속의 냉기가 새어 나오는 과정도 알아냈다. 북극 해빙이 녹으며 대기와 해양 사이에 온도 차이가 커져 대기 중으로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은 중위도 상층에 존재하는 행성파 ... ...
차세대 로켓 엔진 승자는?
2014.08.22
탐사선 하야부사에서 얻은 노하우를 토대로 고도 180km급 정찰위성을 개발 중이다. 180km
상공
은 공기의 저항이 심해 통상적으로는 정찰위성이 머물 수 없는 높이지만 이온엔진을 달아 주기적으로 가속해주면 장기간 위성을 운용할 수 있다. 미국의 정찰위성은 유사시에만 180km 고도까지 내려와 촬영을 ... ...
한국 대기관측 망원경 우주에 안착
과학동아
l
2014.07.13
싣고 있다. 엠텔-2는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초고속 정밀 망원경으로 고도 800km
상공
에서 1년 이상 우주를 돌며 지구 대기를 관측한다. 특히 우주입자가 지구로 날아들며 대기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섬광을 촬영해 기록하는 것이 주 임무다. 우주입자 섬광은 지구 대기현상과 맞물려 항공기 ... ...
드론은 폭격만 하지 않는다…新저널리즘 신무기로 등장
동아일보
l
2014.07.09
곳까지 올라가 사건 현장을 찍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드론은 날씨만 괜찮으면 언제나
상공
에 띄울 수 있고, 그렇게 해서 촬영한 좋은 이미지는 미디어에 팔 수 있다. 언론사의 입장에서도 큰돈 들이지 않고 좋은 항공 영상을 구입할 있으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이다. 드론을 활용한 마케팅은 ... ...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
과학동아
l
2014.06.20
- NASA 제공 비프스테이크, 바닷가재, 사골우거지국, 육포, 꽃빵, 토마토…. 지구
상공
약 330km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즐기는 우주인의 한 끼는 지상의 여느 풀코스 부럽지 않다. 애피타이저인 버섯수프로 입맛을 돋운 뒤 메인 요리로 비프스테이크를 먹고 디저트로 토마토까지 즐길 수 있다. ... ...
일산에 토네이도 강타, 미국에서나 있는 건 줄 알았는데…
동아일보
l
2014.06.11
시간 동안 지속됐다고 밝혔다. 일산 토네이도 발생 원인에 대해 기상청은 한반도 지상 5km
상공
에 찬 공기가 머무는 가운데 낮 기온이 30도 가까이 오르면서 대기가 불안정해 강한 비구름이 생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산에서 목격된 토네이도는 바다나 넓은 평지에서 발생하는 매우 강하게 ... ...
토종 인공위성 감시시스템 2023년까지 구축
과학동아
l
2014.06.01
천리안 위성과 러시아 위성이 충돌할 뻔 했다. 2013년 2월에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
상공
에서 소행성이 폭발해 건물 7000여 채를 훼손하고 1600여 명이 다치는 등 우주위험 발생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0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제1차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을 ... ...
‘돌이킬 수 없는 남극 해빙’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14.05.30
분다. 그런데 최근 수십 년간 프레온가스 등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면서 남극
상공
의 오존 농도가 감소했고 이에 따라 남극에 형성되는 저기압의 세력이 강해졌다. 이 때문에 중위도 지역과의 기압 차가 커져 남극을 순환하는 바람의 세기도 1979년에 비해 15~20% 커졌다. 특히 아문센 해 저기압(ASL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