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뉴스
"
성과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과학자인 것처럼" 대한민국 과학축제 25일 대전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운영된다. 양자컴퓨터나 초소형 유전자 가위 등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와 수많은 신제품이 등장하는 행사인 미국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24 출품작도 관람할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연계한 모형 판다 플래시몹 특별전도 준비됐다. 축제 개막은 25일 저녁 7시에 엑스포시민광장 ... ...
‘질소’ 담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 이차전지 음극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보완하고 고용량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며 “전지 전극의 전도
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기존에 첨가되던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재(전자 흐르을 돕는 물질)를 넣지 않아도 될 수준”이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리튬 확산 속도가 중요한 전고체전지 음극에도 ... ...
尹 "R&D 예타 획기적 개선"…8년만에 대통령 참석 과학기술의 날 기념식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산업 발전에 기여한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 명예연구원에게 돌아갔다. 국가연구개발
성과
평가 유공 부문 훈장은 2명이 받았다.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은 세계최고 수준의 유전자가위 개발 및 다국적 제약사 기술이전으로 유전자치료 혁신과 K바이오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김용삼 ... ...
실내 빛만 있어도 세균·바이러스 막는 섬유 코팅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마스크, 방호복 등 다양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며 “개발된
성과
를 바탕으로 공정
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4일 국제학술지 ‘스몰’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한국 생명과학 기틀 세운 박상대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사재를 출연해 '여성생명과학자상'을 만들기도 했다. 2016년 제정된 상은 매년 우수한
성과
를 낸 여성 과학자를 선정해 포상한다. 그는 UN개발계획(UNDP)의 주도하에 설립된 비영리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IVI)를 한국에 유치하는 데 앞장섰으며 한국후원회장과 이사장을 맡아 여러 활동을 펼쳤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업그레이드된 단백질 설계 AI…백민경 교수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의 최신 버전이다. 로제타폴드는 2021년 사이언스가 뽑은 그해의 최고 혁신 연구
성과
로 뽑힌 바 있으며 백 교수는 이번 연구에도 저자로 참여했다.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이유는 단백질이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생체 분자이기 때문이다. 단백질 구조는 단백질 기능을 결정하기 때문에 ... ...
"플라스틱 분해 효소로 지속가능한 지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분야 권위자다. 강연에서 보른슈어 교수는 환경보호에 이바지하는 자신의 연구
성과
를 소개했다. 그는 효소를 이용해 해양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등을 분해하는 물질 등을 만든다. 강연에 이어 이어진 언론 간담회에서 보른슈어 교수는 "효소는 일반적인 온도, 수소이온농도(PH) 등 조건에서 ... ...
"한국인 유전체DB·데이터 분석장비 절실"…생물공학 차세대 연구자들의 '일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교수, 김민희 경북대 패션디자인학부 섬유공학전공 교수 등 8명의 연구자가 참여해 연구
성과
를 발표했다. 대부분 올해 교수로 임용된 연구자들이다. 이상민 포스텍 교수는 AI를 이용해 단백질 나노구조를 설계하고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연구를 한다. AI를 기반으로 인공 단백질을 설계하는 ... ...
파리 날개 근육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영상 기술에 인공지능(AI)을 구현하는 머신러닝(기계학습) 모델링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한
성과
다. 비행 움직임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제작한 로봇 파리도 활용했다. 곤충이 비행하는 생물로 진화하게 된 생체역학적 비밀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마이클 디킨슨 미국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참여한 국제공동 프로젝트인 '암흑에너지 관측 프로젝트(DESI)' 연구팀도 최근 1년치 연구
성과
를 발표하며 암흑에너지가 고정값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하는 값일 확률이 약 95%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기존 우주론에서 암흑에너지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며 우주는 계속 팽창한다. 만일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