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4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전압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번 노벨화학상에서는 이 양극활물질과 음극활물질을
최초
로 개발한 세 연구자에게 돌아간 것이다. 특히 이 세 사람은 '리튬 이온 전지'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여기서 '리튬' '이온' '전지'는 무엇일까. 전지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저장하고 이를 다시 ... ...
노벨화학상 수상자 배출한 일본 화학회사 아사히가세이는 어떤 곳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내놓는 데는 실패했다. 1991년 일본 소니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전지를 세계
최초
로 상용화하며 경쟁에서 밀리자 아사히가세이는 1992년 일본 도시바와 손을 잡고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했다. 내부적으로는 분리막 소재 분야에 집중하며 시장을 장악했다. 리튬이온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구디너프 교수가 만든 음극을 기본으로 해 요시노 아키라 교수는 1985년 세계
최초
로 상용 리튬 이온 배터리를 만들었다. 그는 양극에 반응성이 뛰어난 리튬을 사용하는 대신, 음극의 코발트 산화물처럼 리튬 이온을 넣을 수 있는 탄소재료인 석유코크스를 사용했다. 그 결과 성능이 떨어지지 ... ...
우주의 구조와 진화 과정 계산하는 물리우주론, 노벨상을 거머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우주 팽창 아이디어 제시 빅뱅이론에 따르면 지금으로부터 약 140억 년 전
최초
의 우주는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았다. 이후 우주는 점점 팽창하면서 식어갔다. 빅뱅이 일어난 지 약 40만 년 뒤에는 우주가 약 3000K 만큼 식고 투명해졌다. 그리고 여러가지 빛과 방사선들이 우주 공간을 여행할 수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순서에 따라 알파벳 소문자를 붙여 표시한다. 마요르 교수와 쿠엘로 교수가 1995년 세계
최초
로 발견한 외계행성은 페가수스자리 51번 별에서 발견돼 ‘페가수스자리 51 b’라는 이름이 붙었다.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은 크게 행성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는 방법과 행성이 공전할 때 지구와의 거리가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대한 아이디어의 기초가 됐다. 빅뱅 모델은 140억년 전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았던
최초
의 우주를 설명한다. 빅뱅이 일어난 그 이후 우주는 확장되어 점점 더 추워졌다. 빅뱅 이후 약 40만년이 지나고 우주는 X선이나 자외선 같은 광선이 떠돌아다닐 수 있는 곳이 됐다. 심지어 오늘날에도 이 고대 ... ...
노벨물리학상에 빅뱅이론 뒷받침한 이론가·외계행성 발견한 과학자들(종합)
2019.10.08
쿠엘로 교수는 1995년 10월 처음으로 태양계 바깥의 외계행성 ‘51Pegase b’을
최초
로 발견하며 행성이 형성되는 과정과 진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기여했다. 두 사람의 발견 이전까지만 해도 외계 행성은 지구보다 질량이 318배 정도로 훨씬 무거운 목성과 유사한 행성이 발견되는 데 그쳤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감지하는 것은 무엇인지 의문이 생긴다. 서멘자 교수와 랫클리프 교수는 이 비밀을 푼
최초
의 과학자이다. 그들은 저산소에 반응하면 EPO의 유전자 발현이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특히 서멘자 교수는 EPO 유전자에서 전령RNA(mRNA) 생산 위치를 알려주는 부위인 프로모터에서 저산소 반응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가치 있는 연구로 항암 치료 분야를 꼽는다. 생리의학 분야 연구자들은 세계
최초
표적항암제인 '글리벡'을 개발한 브라이언 드러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와 '허셉틴'을 개발한 데니스 슬라몬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대(UCLA) 교수, 유방암과 난소암 발생에 관여하는 브라카 유전자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올랐다. 최근 중력파 관측 등 천체물리에서 수상자가 다수 나왔지만 올해 4월 인류
최초
로 블랙홀의 그림자를 촬영한 과학적 시도도 충분히 수상 물망에 오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화학에서는 최근 초강세를 보인 생화학 분야가 올해도 수상자를 배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클래리베이트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