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줄어들지 않는다(아래).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리뷰논문을 쓴 미국 매사추세츠대 생물
학과
로렌스 슈와르츠 교수는 이런 발견이 고령사회가 되면서 점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근감소증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영감을 준다고 주장했다. 근육량 유지의 열쇠는 근육세포 안에도 있다는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덕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장(서강대 화
학과
교수)도 “함량과 용출량이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하려면 이를 입증해야 한다. 학술적으로도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용출량을 측정하는 방식과 함량을 재는 방식에는 비용 차이가 거의 없다”며 ... ...
2040년 메이드인 코리아 수소차 620만대 전 세계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한국도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
학과
교수도 “수소를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현실적인 기술은 아직 없다”며 “수소 기술은 아직 더 연구해야 하는 미래기술일 뿐 상용화를 논할 기술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정부는 수소를 영하 25 ... ...
[표지로 읽는 과학] 블랙홀 진화와 코로나 감소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12
발생요인이 코로나와 강착원반 중 무엇인지 고민해왔다 에린 캐라 미국 메릴랜드대 천문
학과
연구원 연구진은 블랙홀이 회전하면서 강력한 물질을 분출하는 제트 현상이 나타난 뒤 강착원반의 크기에는 아주 작은 변화만 있던 반면 코로나의 크기가 줄었다는 관측 결과를 네이처 10일자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헤레로 교수의 실험실에서 연구는 하되 소속은 전기공
학과
에 두게 됐다. 논문에는 물리
학과
소속으로 나와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틀린 것이다(아니면 그 뒤 적을 옮겼거나). 인생 최초의 좌절에 실망이 컸지만 차오는 좌절하지 않고 실험에 집중했고 6개월이 지나자 연구에 재미를 붙여 놀라운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임무를 주도하는 할 위버 미국 존스홉킨스대 물리천문
학과
교수는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울티마 툴레는 태양계의 가장 원시적인 물체 중 하나”라며 “뉴호라이즌스호의 플라이바이를 통해 과거 태양계의 형성 당시의 비밀을 밝힐 단서를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PLGA)를 만드는 대장균을 만들어 발표했다. 박진병 이화여대 식품공
학과
교수는 2016년 녹조나 미역 같은 조류에서 지방산을 분리한 뒤 미생물과 반응시켜 자동차나 항공기 내장재와 엔진룸에 쓰는 ‘중쇄카르복실산’이라는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이 대사공학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 해, 열 명의 이야기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글을 올려 ‘다양성 챔피언‘으로 불린 제스 웨이드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물리
학과
연구원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채택한 ‘1.5도 특별보고서‘를 이끌어낸 밸러리 메종 델모트 프랑스 기후환경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이 은하수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행복을 가능케 하는 또 다른 한 가지는 남에게 베푸는 것이다. 사이먼 프레이저대 심리
학과
래러 애크닌 교수는 실험을 통해 똑같이 돈을 써도 자기 자신을 위해 쓸 때보다 몸이 아픈 아이들을 위해서 쓰는 등 ‘타인’을 위해 쓸 때 더 행복감이 증가한다고 밝혔다. 최근 시카고 대 에드 오브라이언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운명이 결정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대니얼 왜그너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시스템생물
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진은 발달 연구에 널리 쓰이는 제프라 피쉬 배아의 운명을 결정짓는데 관여하는 약 9만 2000여개의 RNA 전사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단일세포 RNA 염기서열 해독 기술로, 제브라 피쉬의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