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별은 자기장 ‘그물’의 방해를 뚫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이 별 주위에 형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천문학 분야 국제
학술
지 ‘천체물리학저널’ 1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1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페르세우스 분자구름 안에 위치한 아기별 ‘L1448 IRS 2’를 칠레의 해발 5km 지점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군집형 ... ...
완전한 원자 한 층 그래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한 층으로 이뤄진 대면적 그래픽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2일자에 발표됐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처럼 육각형으로 나열된 2차원 물질이다. 얇고 투명하지만 강철보다 강하고 우수한 열전도성과 전기전도성을 갖춘 물질이다. ... ...
한국 과학자들, 일본과 시너지 가장 잘 내지만 협력 줄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것이다. 실제로 한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격인 일본의 문부과학성 내 과학기술
학술
정책연구소(NISTEP)가 지난 4월 발표한 연구자 의식조사에 따르면 일본 연구자들 사이에 연구환경에 대한 위기감과 기초연구 상황이 악화됐다는 인식이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 선임연구원은 “일본은 자국의 ... ...
얼음 속 화학반응이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줄 수 있는지 밝히기 위해 연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환경과학&기술(ACS)’ 2일자로 발표됐다. 동결농축효과로 얼음 결정 사이 유사 액체층에 산화철 입자, 요오드 이온, 수소이온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고 독특한 화학반응으로 생물이 이용가능한 철 ... ...
스트레스 받은 뇌, 줄기세포는 스스로를 먹어 파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연구를 이끈 유성운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오른쪽)와 제1저자 정성희 연구원. 사진제공 DGIST 만성 스트레스가 뇌, 특히 기억과 학습을 관장하는 ‘해 ... 되는 SGK3를 억제하는 치료제를 개발중”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포학 분야 국제
학술
지 ‘오토파지’ 6월 24일자에 발표됐다. ...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컴퓨터 방법론 ‘DeepEC’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신성철 KAIST 총장이 부임하면서 원로 연구자와 신진 연구자, 스승과 제자 등 세대 간 차이를 뛰어넘는 연구자들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꿰고 있는 과학자에게 청탁하는 것이므로 영국(‘네이처’)과 미국(‘사이언스’)
학술
지가 굳이 한국 과학자까지 떠올리지는 않을 텐데, 그만큼 고 교수가 적임자란 얘기일 것이다. 투명한 플라스틱 표면에 잉크 없이 색을 만들어 명화를 재현한 이미지다. 왼쪽은 ‘진주목걸이를 한 소녀’로 ... ...
"국내서 개발하는 선박용 소형원전 군사 전용 우려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4일까지 열리는 이번 포럼은 IAEA가 추진하는 혁신원전 연구 프로젝트를 논의하는 국제
학술
행사다. 일각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4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중에서 이번 정부 들어 가장 주목을 받는 UNIST에서 선박용이기는 하지만 신형 소형 원자로를 개발한다는 발표한 것을 두고 ... ...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두뇌 크기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았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8일자에 발표됐다. 신경줄기세포는 모든 종류의 뉴런으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다. 뉴런을 대뇌 피질의 정확한 위치로 옮겨 두뇌가 형성되는 과정 전체를 조절하는 ... ...
누르면 위치와 압력 정확히 인식하는 3D 터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디스플레이에서도 쓸 수 있는 3D 터치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13일자에 실렸다. 3D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의 세기를 인식해 동작하는 기술이다. 터치 패널과 압력 센서를 조합해 만든 장치가 스마트폰 등에 ... ...
이전
1066
1067
1068
1069
1070
1071
1072
1073
10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