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여행 즐기며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정5각형의 5
개
의 꼭지점을 연결해 별을 그려보면 한붓그리기가 가능한데, 레이저가 5
개
의 거울에 연속적으로 반사되는 경로는 한붓그리기 경로와 똑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촉진되고 생식선은 정상적인 생식기절(生殖期節)이 아니라도 급속히 발달하게 된다 2
개
의 인접한 원자(주로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기의 상대위치를 식으로 표시하기 위해 M S 뉴맨이 제창한 투영식 두 원자의 결합선의 연장위에 눈의 위치를 정하여 결합축에 수직인 평면 위에 각 기를 투영한다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얼마전 아돌프 히틀러의 유년 시절 그림이 인터넷에 공
개
돼 화제를 모은 적이 있다. 한 소장가가 웹에 히틀러의 그림을 올리자 다른 소장가들도 하나둘 그림을 ... 단순히 읽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고치는 것이 가능하다. 1994년 워드 커닝햄이 처음
개
발한 방식으로 공동체적 성격이 강하다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최우수공동체로 선정되기도 했다.“앞으로는 지속가능한 어업이 생태계기반 관리
개
념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이 박사는 미래에는 해양생태계 전반에 걸친 연구를 토대로 남획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생태계기반 관리는 지금까지 특정 어종 한 종류에 국한시켜 남획 여부를 평가했던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름달 그림자 무지
개
자동차 그리고 비행기.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밤하늘을 훤히 비추는 보름달과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사이에 숨어있는 연 ... 태양을 찾아 떠나야만 한다. 그리고 그때가 되면 새로운 행성의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2
개
혹은 3
개
의 태양을 볼 수 있지 않을까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한다. 이 판독에는 펠리칸성운이 보이는가가 중요하다. 북아메리카성운 내부에는 산
개
성단이 존재하므로 별과 성운의 구분이 어려운 반면, 펠리칸성운에서는 성운만 보이기 때문이다.오래 전 국내 관측가들은 이 두 성운이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두 성운은 아주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작용물질은 한 줄의 사슬로 된 염기성 폴리펩티드(분자량 8,800)이며, 이 분자 약 2,000
개
가 난막에 결합하면 비로소 난막을 구성하는 무코다당(분자량 500만) 1분자가 난막에서 절단되어 유리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난백에 함유된 알부민 많은 동식물의 조직에 존재하는 복합단백질이며, 아미노산 외에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서레이대 암연구소는 우주기술과 치아진단법을 이용해 새로운 암진단기를
개
발했다. 천문연구에 사용되는 X선 관측기술에 사용되는 고체촬영소자(CCD)를 이용해 만든 이 진단기는 손에 잡기 쉽고 고해상도 진단이 가능하다.연구팀은 크고 값비싸며 해상도도 낮은 기존의 진단장치들을 대체할 수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1934년 8월 11일 수심 9백8m까지 들어가는 기록을 세웠다. 그 후 바턴은 새로운 잠수구를
개
발해 1948년 1천3백60m까지 잠수했다.바다의 최고 깊이까지 사람이 내려간 것은 1960년대에 들어와서다. 1960년 1월 22일 미국 과학자 자크 피카르와 해군대령 돈 월시는 트리에스테호를 타고 마리아나해구의 수심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
개
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대전 1·2공단 환경
개
선 사업은 한창 진행 중이다. KAIST 환경공학과 학생 10여명이 해당 지역 주민들을 인터뷰하면서 환경기술지도를 작성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토양과 수질오염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이밖에 원자력 ... ...
이전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