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볼 수 있다는 것이 관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해인사가 흔히 법보사찰로 불리는 이유도
바로
불교에서 세가지 보배로 치는 불법승(佛法僧)중 부처님의 말씀을 담은 법, 즉 대장경을 모시고 있기 때문이다.나무위에 새긴 팔만대장경이 어떻게 7백 년이라는 세월에도 큰 훼손없이 보존될 수 있었을까.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폭발하는 경험도 겪었다. 결국 최적량의 산소가 얼마인지를 알아내었고, 이 공정이
바로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제조법이다. 영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것은 레이더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발명에 있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다.1938년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시작해서 그림을 그리고 기타 등등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할까. 윈도우를 사용하면
바로
그림 그리는 프로그램인 페인트로 가서 멋지게 약도를 그린 다음 원하는 초청장의 위치에 갖다 붙이기만 하면 된다.윈도우란 이름이 붙은 것은 그 안에 윈도우(창)를 여러 개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여러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성운으로 알고 있었을 것이다. 프레세페가 성단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바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다. 그는 자신이 발명한 작은 망원경으로 이것이 성단임을 발견했는데 그 당시 그의 저서에는 이 발견이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프레세페라고 불리는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구성이 풍성하거나 모양이 이해하기 쉬워서 쉽게 맞출 수 있다. 1970년초 입자물리학이
바로
이러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그 때는 경이로운 눈으로 환호성을 올렸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퍼즐의 쉬운 일부분이었다. 채워야 될 구멍은 아직 남아 있다. 풀 수 있는 퍼즐은 이미 답이 나왔지만 GUT ... ...
바이오스피어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종합할 수 있고 올
바로
인식할 수 있듯이 광범위한 시각을 가진 사람만이 생물권을
바로
조감할수 있으며 또 꾸려갈 수 있다. 나무만을 보고 숲을 알 수 없듯이, 유전인자만을 바라보는 유전공학으로는 생물권을 이해할 수 없다.따라서 생물권Ⅱ와 같은 실험장치를 설치하는 것 말고 다른 새로운 ... ...
피라미드 건설기술자 무덤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건설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사후를 위해 그 주변에 묘소를 만들었다.최근 고고학적인 대발견이 이집트에서 이뤄졌다. 피라미드에서 그리 ... 그때도 말이 날뛰어 그만 말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이 역사적인 낙마를 통해 찾아낸 것이
바로
멘호텝2세의 무덤이다 ... ...
♀ ♂ , 왜 같은 비율로 태어나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얼마나 편리할까. 그러나 이런 '경제적인'사고방식으로는 잘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유성생식이다. 왜 이처럼 암수가 따로 떨어져 있다가 짝짓기를 해야 자손을 증식시킬 수 있는 불편한(?) 생식방법이 존재하는 것일까. 번식이란 스스로 유전적으로 닮은 개체를 생산하는 것인데, ... ...
'과학'도 거짓말 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파국이 올 수 있는지를 보여준 한 예라 할 수 있다. 수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바로
는 문제가 된 국과수 문서감정실의 경우 요원 4명이 작년 한해 4천여건의 문서를 감정했다고 한다. 한사람이 하루평균 감정대상물 3건의 진위를 가려내야 했다는 얘기다.문서감정의 경우 최신과학기법의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말인데, 필리핀에서 월동하는 왜가리가 주남과 을숙도 등지에서 자주 발견되는 이유는
바로
우리나라 겨울이 너무 따뜻해져서 그런 것이라 추측됩니다. 저희 여천 돌산지역에도 매년 왜가리 40여개체가 서식합니다. 저는 새에 관한 한 아주 초보자인데 이번 탐사를 계기로 제가 살고 있는 지방의 ... ...
이전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