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4염색체」가 노화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07
정체와 그 메커니즘을 알아내면 거꾸로 영원히 증식을 계속하는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불로초(不老草)를 구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했던 진시황의 소원을 현대의 유전학자들이 풀 수 있을지 자못 궁금하다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06
항생제의 항균력을 나타내는 말로 두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세균의 발육 및 증식을
억제
하는 정균작용(整菌作用, bacteriostatic action)과 세균을 죽이는 살균작용(殺菌作用, bacteriocidal action)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물론 이 둘의 구분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대개는 항생제의 농도에 따라 나뉘는 게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05
것을 말한다. 대개의 경우 이 증상은 반사적으로 수축하려고 하는 방광을 자신의 의지로
억제
하지 못해서 생긴다. 그런가 하면 방광염이나 방광종양 등에 걸려 국소적으로 방광이 예민해져서 오는 경우도 있다. 뇌졸중 등 중추신경계통의 이상으로 발생하기도 하나 때로는 뚜렷한 원인을 발견하지 ... ...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
과학동아
l
199105
구할 수 있는 공업용 아크릴을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대부분 표면에 코팅을 해 반사광을
억제
하고 있다. 또 선명도를 높일 목적으로 유리를 사용한 제품도 있으나 깨지기 쉽고 반사광이 심해 눈에 피로를 더해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가격이 싸(1~2만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최근에는 얇은 편광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04
지극히 불편하고 질식 또는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요법은 다른 출혈
억제
법이 실패한 경우에만 활용하고 있다"고 서정돈교수는 그 제한성을 들려 주었다.어떤 전문의들은 코피가 심하거나 지속성 재발성이면 막바로 수술을 권장하기도 한다. 충전을 함으로써 오는 불편함을 감수하기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03
뇌하수체 후엽호르몬이며 또 다른 하나는 뇌하수체 전엽호르몬의 분비를 자극 또는
억제
하는 신경호르몬이다. 후자중에 잘 알려진 것으로는 갑상선 자극호르몬과 분비호르몬, 부신피질자극호르몬과 분비호르몬 등이 있다. 이들 분비호르몬 또는 자극호르몬은 신경세포에서 분비된 '호르몬의 왕 ... ...
「가미카제특공대」식 약제개발
과학동아
l
199103
heparin)이 그 대표적인 예다. 알다시피 이 약은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트롬빈의 생성을
억제
함으로써 자신의 약효를 나타낸다(단백질 분해요소인 트롬빈은 커다란 단백질인 피브로노겐을 실 모양의 피브린으로 바꿈으로써 혈액을 응고시킨다). 그런데 헤파린이 몸안에 오래 남아 있으면 뭔가 말썽을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03
의심하겠는가. 순간 1억년 전 공룡들이 걸어가는 모습이 눈에 선했다.날이 어두워지자
억제
하기 어려운 감동을 누르고 숙소로 철수했다. 발자국 화석이 눈에 어른거려 밤에 잠을 설치고 다음 날 새벽 일찍 학생들을 깨워 언론기관에 연락, 공표를 서둘도록 했다. 취재하기 위해 현장에 도착한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03
뇌신경전달물질의 하나인 도파민 수용체의 전달장애 때문에 일어나는 중추기능의
억제
이며, 음성증상은 뇌세포의 감소에 따른 구조적변화라고 했다.한편 플로헨리(Flor henry)는 신경심리학적 검사를 통해 정신분열증이 좌반구장애임을 입증했다. 또한 그는 뇌전산화단층촬영 결과 뇌실(腦室)이 커져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02
1986년 말에 클론(clone)된 유전자인 레티노블라스토마(retinoblastoma)는 암유전자의 활동을
억제
해주는 것으로 밝혀져서 암치료에 큰 희망을 던져주고 있다. 이미 1988년에 생쥐를 이용한 동물모델실험결과 이 레티노블라스토마 유전자가 생쥐의 암조직세포들을 정상화시키는데 성공함으로써 과학계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