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4,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6
- 밴더빌트대 공동연구팀은 몸 안에 이식해 혈액 노폐물을 거를 수 있는 인공 신장을 개발 중이다. 실리콘나노필터가 피의 노폐물을 걸러내면, 공여자의 신장 세포가 든 생물 반응기가 물을 재흡수한다. 예비 실험 결과 면역거부반응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현재 60일 정도인 생물반응기 내 신장 세포의 ...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06
- 흡수시킬 수 있습니다.”백 교수는 현재 ‘포스트휴먼 사이언스’라는 총서를 준비 중이다. 포스트휴먼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개괄을 다룬 제1권과,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기술, 법률, 철학을 총망라한 제2권을 올해 가을에 동시 발간할 예정이다. “뜻있는 사람들이 토론한 내용을 시민사회가 ...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06
- 하나 부검을 하게 될 경우, 소금 중독은 락스 중독보다는 들통날 확률이 적습니다. 소금 중독으로 사망한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후변성에 의해 혈액의 전해질 수치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눈 유리체액(vitreous humor)이 생전의 전해질 수치를 비교적 오래 보존하죠.하지만 소금도 본인이 ... ...
-
- BRIDGE. 일+취미수학동아 l201605
- 비례식을 이용해서 설비의 부품에 문제가 있다는 걸 밝혔지요. 이처럼 일을 통해 수학의 중요성을 알게 되니 수학이 재미있어지더라고요.”그는 공대 출신이라는 점을 살려 특허전문변호사가 됐다. 특허 소송에서 이기려면 변론을 맡은 기업이나 개인이 만든 발명품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 ...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05
- 다음과 같았습니다. 이 값은 기존 예측과 너무나 많은 차이가 납니다. 첫 백만 개 소수 중에 3으로 나눠서 1인 것은 499,829개, 2인 것은 500,170개라서, 만일 나머지가 골고루 정해진다면 1 다음에 1이 오는 것은 대략 499,829×499,829÷1,000,000≈249,829정도가 돼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22만 개도 안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05
- 나타냈다.마지막 강연이 있었던 1993년 6월 23일, 와일스의 강연장에는 200여 명의 청중이 몰려들었다. 와일스는 훌륭한 아이디어를 완성한 켄 리벳을 포함한 여러 수학자와 대학원생 앞에서 증명을 완성해 나갔다. 증명을 끝내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칠판에 쓴 그는 “이쯤에서 끝내는 게 ...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05
- 중간중간에 ‘사이언스 모션’이라는 코너가 있는 것을 본 독자가 많을 것이다. 중요한 기사의 핵심 개념, 흥미로운 취재의 뒷이야기, 표현의 한계로 지면에서 미처 풀어내지 못한 내용을 움직이는 그래픽(모션그래픽)으로 만들어 왔다. 한 해 남짓한 기간 동안 만든 그래픽이 40개가 넘는다.이 모든 ... ...
-
- [과학뉴스] 불의 고리과학동아 l201605
- 말입니다. 전세계 지진의 90% 이상, 그리고 지난 1만 년 동안 가장 강력했던 지진 25건 중 22건이 일어난 뜨거운 지역이죠. 태평양 남서쪽 뉴질랜드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 캄차카반도, 알류샨 열도,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등 태평양 외곽을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어 불의 ‘고리’라고 ...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잡음이 많아졌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 6월 그리스 로도스 섬에서 열린 제2회 국제수중음향학회에서 발표했다. 이 연구원은 “바닷속 잡음이 증가해 고래 같은 생물이 짝짓기 활동에 방해를 받아 생태계가 변할 수 있다”며 “현재 NOAA와 후속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05
- DNA는 네 가지다(CGT, CGC, CGA, CGG). 이 정보는 대장균이나 사람이나 동일하지만 대장균은 이 중 CGT를, 사람은 CGC를 많이 사용하는 등 빈도의 차이가 있다.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빈도를 조절하지 않으면 최종산물의 양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신호 전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