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2교시]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푼 수학자를 만나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확장한 50년 난제가 해결됐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습니다. 그 내용을 알아보고 연구자를 만나세요. 1973년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생각했어요. 어떤 점 2개도 동시에 여러 선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이퍼그래프’를 그리면서 선들이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많이 물까?’하는 생각은 해볼 만하잖아요. 그런데 혈액형하고 별 상관이 없다는 실험
결과
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한 발 더 나아가서 일반적인 모기의 습성을 찾아보는 거예요.”곽 작가는 지하에 사는 모기와 지상에 사는 모기가 서로 다른 종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찾았다. 논문을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식물분류학자가 보낸 연애편지 '허태임 연구원'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허 연구원은 “지난 2019년부터 전국 31개 산지에서 침엽수 자생지 500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32%가 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원래라면 나무가 세대를 교체하며 이어져야 할 숲이다. “숲이 존속하지 못하고 죽고 있어요. 침엽수의 떼죽음이 현실이 된 거죠.” 종 대 종으로 예의를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② 우린 이걸 ‘기후위기’라 부르기로 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민 교수는 “최근 폭우가 기후변화 때문에 잦아지고 있다는 극한 현상 원인 규명
결과
들이 꽤 나오고 있다”며 “데이터가 더 많아지고, 기후모델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분명 폭우와 기후변화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을 거란 결론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폭우 더 많아진다문제는 앞으로다.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손상모 STScI 수석연구원이 연사로 나서 발사 준비부터 과정,
결과
등을 소개했다. 손 수석연구원은 제임스웹에 포함된 반사경의 초점을 맞추는 임무 등을 맡고 있다.제임스웹은 개발 과정에서 예산 부족과 효용성 논란 등 여러 고비를 넘겨야 했다. 발사 직전인 2021년 1 ... ...
[광고] 과학덕후를 위한, 과학덕후에 의한 문구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고정관념을 깨고 싶어서 통통 튀는 재미있는 디자인을 떠올렸다”고 했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노트 앞에는 귀여운 양성자 캐릭터가 찡긋 웃고 있습니다. 뜬금없다는 생각이 드실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양성자는 영미권 과학덕후들의 애정을 듬뿍 받는 녀석입니다. 전기적으로 양성(positive)을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것들이 있습니다.박진서 KISTI 글로벌 R&D분석센터장은 “라이덴 클러스터를 추가 분석한
결과
해당 분야에서 중국의 약진이 압도적”이라고 말합니다. 약 2만 2000건의 논문 중 중국이 1만 8000여 건으로 80%가 넘는 점유율을 나타냅니다. 2위인 미국은 2600건 가량으로 중국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렇게 ... ...
[과학 뉴스] 식충 식물은 뭘 먹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렌즈예요. 연구팀이 사진을 관찰해 잎마다 몇 마리의 곤충이 붙어 있는지 확인한
결과
, 지금까지 잎 길이 1cm당 평균 1마리에서 3마리의 곤충을 잡아먹은 사실을 알아냈어요.연구팀은 잎에 남은 곤충의 신체 일부에서 유전물질을 추출했어요. 이후 유전물질에 열을 가하고, 유전자 정보를 복제하는 ... ...
[가상 인터뷰] 스피노사우루스의 수영 비결은 뼈에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수영하는 동물과 마찬가지로 뼈가 조밀하게 생겼습니다. 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
를 통해 스피노사우루스도 직접 수영을 하며 어류를 사냥했을 거라고 추측했어요. 예외 사례는 없었나요?무게가 많이 나가고 목이 긴 ‘용각류’ 공룡은 수영을 하지 않는데도 뼈의 밀도가 높았어요. 연구팀은 무거운 ... ...
[통합과학 교과서] B612 소행성의 진짜 위치는 어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시공간을 어떻게 왜곡하는지 설명하는 공식이에요. 각각의 별이 밝아진 시간을 측정한
결과
, 연구팀은 지구로 들어오는 별빛을 270일 동안 원래보다 밝게 만든 천체를 발견했어요. 이 천체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7배였어요.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7배에서 8배 정도 된다는 것을 밝혀낸 기존 연구를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