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파이터의 폭식, 훈련하면 늘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근래 급상승하고 있다. 제임스 스몰리가 미국 하이포인트대 물리치료학과 교수팀이
국제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7월 15일자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네이선 핫도그 먹기 대회의 기록은 다른 스포츠 종목 기록보다 급격히 상승했다. doi: 10.1098/rsbl.2020.0096스몰리가 교수는 1972년부터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RNA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해
국제
학술지 ‘셀’ 5월 1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0.04.011 각국의 바이오기업들은 이 유전자 지도를 바탕으로 짧게는 수 시간 만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진단키트를 설계해냈다. 3세대 DNA 해독 기술로 해낼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돌연변이가 생기면 항암치료제에도 저항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2019년 추가로 밝혀
국제
학술지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에 발표했다. doi: 10.1158/1078-0432.CCR-19-1237정 교수는 “장기나 암의 줄기세포를 이용해 정교한 오가노이드를 개발하면 암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줄기세포나 암에 어떤 영향을 ... ...
[과동키즈] 과학고 출신 의사에서 국회의원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외향적인 성격인 점이 큰 도움이 됐다.특히 주기적으로 의료봉사에 참여했다. 평소
국제
구호 활동이나 재난 의료에 관심이 많았다. 현재 사용 중인 국회의원 명함에도 2013년 태풍 하이옌으로 피해를 입은 필리핀 타클로반에서 의료봉사를 했던 사진이 담겨있다.의료봉사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200 ... ...
[수학뉴스] 인간 정자 움직임의 비밀, 수학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사실 정자의 움직임은 회전하며 헤엄치는 수달과 비슷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31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태풍 예보 정확도 높인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중국과학원 대기물리학연구소 연구원팀이 태풍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대기과학의 발전’ 7월 27일자에 발표했습니다.태풍을 예보할 때는 기온과 기압, 습도 등 기상변수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1822년 프랑스의 공학자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몸통이 작은 2등신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홍익대학교
국제
디자인트렌드센터 연구팀이 20대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사람들이 캐릭터를 볼 때 어느 부분을 주로 보는지 눈동자를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기술로 알아봤는데, 캐릭터의 얼굴을 주로 본다는 결론을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동물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8월 13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cub.2020.07.04 ... ...
[한페이지 뉴스] 차세대 태양전지, 우주 테스트 성공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혹독한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하려면 수많은 장비가 필요하지만, 그중에서도 절대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지금까지는 원 ... 활용 가능한 태양전지 기술로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줄’ 8월 12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joule.2020.07.00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심해어인 오네이로데스(Oneirodes sp.)의 빛 반사율이 0.044%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빛 반사율이 0.06%인 나비인 캐토네프헤레 안티노에보다도 더 검은 셈이다. doi: 10.1016/j.cub.2020.06.044연구팀은 북아메리카로 둘러싸인 멕시코만과 미국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