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힘살
근조직
심줄
살
힘쌀
근골
cric
d라이브러리
"
근육
"(으)로 총 1,92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인증으로 들여다본 성장호르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한다. 사춘기가 끝나면 성장이 마무리되기 때문에 성장호르몬은 체내 지방을 태우고
근육
을 만들기 위한 소량만 필요하다. 그러나 성장호르몬을 분비하는 뇌하수체에 종양이 생기면 분비량을 줄이지 못해 말단 비대증이 생긴다.뇌하수체 종양이 어릴 때 생기더라도 말단 비대증은 사춘기가 지나야 ... ...
영재들과 한강 철새가 만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인간과 동물이 함께 살아가는 일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잖아. 게다가 이 아빠의
근육
질 몸매가 공개되었다는 거! 오쪼케, 나 느무 부끄로워~!(어떡해, 나 너무 부끄러워~!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남자는 최대한 체중을 감량하고 여자는 최대한
근육
량을 키운다. 성별이 달라도 체중과
근육
량이 비슷하면 한 사람이 큰 힘을 쓰지 않아도 서로를 지탱할 수 있다.조명 : 구름 그네의 마지막 장면에서 연기자가 떨어질 때 관객이 비명을 지르는 이유는 연기자의 몸에 연결된 안전줄이 조명으로 인해 ... ...
폴짝, 공포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아무 소리도 나지 않습니다.공포를 느끼면 도망치기 위한 만반의 준비도 합니다. 피가
근육
으로 몰려 얼굴이 하얗게 질리고 심장은 더 빨리 뛰고 허파는 산소를 더 많이 받아들이지요. 간은 에너지를 내기 위해 글리코겐을 분해하고 위는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소화력을 떨어뜨립니다. 너무 무서우면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대부분은 골격근이며 얼굴의 피부를 움직이는 표정근, 혀나 후두(喉頭)를 움직이는
근육
도 가로무늬근이다 뇌신경의 편측성핵하성마비(片測性核下性痲揮) 1927년에 G 레이몬드가 두개저(頭蓋底) 또는 그 주위에 발생한 악성종양이 두개저열구(頭蓋底裂口)에 침입함으로써 뇌신경이 편측성으로 ... ...
몸짱보다 얼짱 돼라?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호주 서오스트레일리아대 마리안 피터 교수팀은 인간이 이성을 볼 때 몸 부위의
근육
이나 실루엣보다 얼굴 인상을 더욱 비중 있게 보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 동물행동학 전문지인 ‘동물행동’ 5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남녀 각각 12명을 대상으로 이성의 얼굴, 몸통, 전신을 찍은 사진을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여성 10명 중 2~3명의 비율로 나타날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자궁근종은 말 그대로 자궁의
근육
에 생기는 양성종양으로 크기는 팥 알갱이만 한 것부터 10cm가 넘는 것까지 다양하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뱃속에서 혹을 키우다가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혹의 개수나 크기로 수술 ... ...
박태환 막판 추격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2배에 가까운 7000cc. 보통 수영선수는 5000~6000cc 정도다. 많은 양의 산소를 빨리 공급받아
근육
의 피로회복속도가 빠르다. 폐안에 공기가 많으면 몸이 물에 잘 뜬다는 장점도 있다.잠영거리턴을 한 뒤 잠영을 오래해야 물의 저항을 덜 받고 팔 젓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5m였던 잠영거리를 대회를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에 있는 두틈한
근육
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원인이 된다물이 ... ...
가슴 속에 부는 토네이도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생물물리학의 시초다. 생물물리학은 생물체 안의 물질 흐름을 열역학으로 분석하거나
근육
수축을 분자 단위에서 탐구하는 영역까지 넓어졌다.20세기 초 발달했던 양자물리학이 오늘날 전자통신산업의 기초가 됐듯이 생물물리학은 21세기 생명공학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밝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