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상
천문
도시기후
도시
동안기후
d라이브러리
"
기후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튜브는 문자 기반 SNS보다 데이터 양이 많고 의미의 폭도 넓다. 박 교수는 “똑같이
기후
변화 정책에 찬성하는 내용이라도 영상에 따라 정도가 다르다”며 “이런 미묘한 차이가 댓글의 네트워크에 어떤 변화를 줄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박 교수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 ...
과학에 빠진 카카오, 초콜릿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필요하다고요? 카카오엔 단맛이 없다고?초콜릿은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처럼 열대
기후
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카카오나무의 씨앗을 재료로 만들어요. 카카오나무의 열매는 ‘카카오팟’이라고 부르는데, 딱딱한 껍질을 까면 흰색 과육으로 둘러싸인 30~50개의 '카카오빈(혹은 카카오콩)'이 나와요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장관상)로 선정됐다. 게다가 지난 2월 15일 국회
기후
변화포럼이 주는 ‘2012 대한민국 녹색
기후
상(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도 받았다. 이 밖에도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주관하는 ‘SESE(Save Energy Save Earth)나라’ 프로그램에 참여했다(해바라기반에서 만든 SESE나라 이름이 바로 ‘에코그린 녹색나라’다).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주고 있다는 걸 알고 있니? 지구온난화 때문에 우리나라도 점점 흰개미가 살기 좋은
기후
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야. 실제로 경상남도의 쌍계사를 비롯해 서울 운현궁 등 곳곳이 흰개미 피해를 입고 있어.그래서 수리연 가상생태계연구팀에서는 흰개미의 행동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 ...
북극이 녹는 위기를 기회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소식에 경악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는 과학자답게 변하는
기후
에 적응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영구동토층이 녹으면 북극해의 빙산이 녹으면서 닫혀 있던 곳이 길처럼 열린다. 육로에 비해 멀었던 해로가 가까워진다는 얘기다. ... ...
기후
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박사과정 이재경 연구원은 “우리나라
기후
변화 정책에 기여하는 연구”라며 “
기후
변화를 잘 모르는 대중들도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 교수는 최근 공간 개념을 더한 물 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유역통합관리’다. 강의 본류와 지천을 함께 관리하고, 상류와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내리고 있기 때문에 맨 꼭대기에 있는 빙하가 작아졌지만 녹는 속도는 느려졌습니다.
기후
변화가 우리 모두의 책임이듯이, 알프스 빙하의 미래도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이 아닐까요?”그는 ‘스위스 파빌리온’의 홍보 문구인 ‘환경보호는 나부터 시작(It’s in your hand!)’을 인용하며 바다의 근원을 ... ...
이산화탄소에 취한 물고기는 용감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바닷물에서 키운 뒤 행태를 관찰해 그 결과를 ‘네이처
기후
변화’ 1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현재의 이산화탄소 농도(약 450ppm)와 이번 세기 말의 예상 농도(900ppm)를 가진 바다를 실험장치로 꾸민 뒤 새끼 흰동가리를 넣고 관찰했다. 그 뒤 다 자란 흰동가리를 천적인 대구 ... ...
물처럼 꾸준하고 쉼없이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한다. 대학원에 처음 들어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필자는 저수지를 어떻게 이용해야
기후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지 계산하고 대안을 찾는 연구를 했다. 연구실에서는 저수지 말고도 다양한 유역을 연구했다. 쉽지 않은 연구였지만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어 즐거웠다. 그러나 당시 새로 부임한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건설환경공학이 뭐죠?
기후
변화 문제는 인간의 문명생활과 자연이 조화를 이뤄야 함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건설환경공학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활의 토대가 되는 다리, 댐, 도로, 상하수도 등 사회기반 인프라를 계획하고 설계하며 건설, 유지하는 학문이다. 다시 말해 건설환경공학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