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떻게 그렇게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가는 아직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미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 숙제를 풀기 위해서 북한과 서방의 과학자들 간의 꾸준한 연구협력이 진행 중입니다.앞에서 말씀드린 과학적 주제들의 공통점은 엠바고가 명시된 보도자료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마친 로버는 지구로 돌아오나요?A . 탐사를 마친 후에도 지구로 돌아오지 않고 달에
남아
있을 거예요. 그래서 50년 쯤 뒤에 달 여행을 가서 로버를 다시 만나는 게 제 소원이랍니다.Q . 로봇 공학자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해야 하나요?A . 로봇을 만들려면 과학뿐만 아니라 수학 공부가 기본이 돼야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분석 결과는 놀라웠다. 쓰나미는 지진 발생 40분 뒤 해안에 상륙했는데 이때 침수 지역에
남아
있는 사람이 52만 명이나 됐다. 대 피 중에 목숨을 잃었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해안지 대 사람들의 절반 정도는 지진이 발생한 뒤에도 해안 지대를 떠나지 않았던 것이다. 특히 이와테현 해안지 대에서는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크기가 꽤 큰 Cas9 단 백질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아직까지는 우리에게 시간이 꽤
남아
있다. 남은 시 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인간과 크리스퍼의 미래 를 결정할 수 있다. 인간이 처음으로 가진 무서운 힘 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 크리스퍼를 발견한 다우드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남은 공부를 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죠. 설령 문제를 풀지 못했더라도 기억에 훨씬 오래
남아
비슷한 문제를 접했을 때 자신 있게 풀 수 있어요.“입시가 아닌 나를 위한 활동”고등학교 2~3학년이 되면 입시가 가까워졌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나의 모든 활동을 입시에 맞추곤 해요. 하지만 꾸준한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떤 비밀이 들어 있을까? 그가 가슴을 두근거리며 펼친 이 책은 아직까지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보이니치 문서’는 272페이지나 된다. 페이지마다 다양한 그림과 함께 글자가 빼곡하게 적혀 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책의 내용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역사상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사원으로 올라가기 전에 지상층을 한번 살펴봅시다. 지금은 부서져 붉은 사암의 흔적만
남아
있지만 과거엔 프놈바깽의 지상층에도 탑이 44개나 있었다고 합니다. 네 면을 둘러싼 탑이 44개니까 각 면에는 11개씩 있었지요. 이제 한 단 한 단 올라가며 작은 탑의 개수를 세어봅시다. 그러면 정사각형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금속은 프린터처럼 인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굳은 뒤에도 사람 피부처럼 신축성이
남아
있다. 미국 퍼듀대 기계공학과 레베카 크래이머 교수팀은 4월 8일 ‘사이언스 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액체금속을 이용하면 접거나 휘어도 깨지지 않는 유연한 로봇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딱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서탑은 비록 6층까지
남아
있긴 했지만 탑의 동쪽과 북쪽 일부 면만 온전히
남아
있었고 나머지 부분은 많이 무너져 있었습니다. 1910년 경 사진을 보면 겉을 두른 석재가 무너져서 석탑 내부를 채우고 있던 돌들이 드러나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일제강점기 때 콘크리트로 보강을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뼈 주변에 깃털 무늬가 찍혀 있다면 깃털이 나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어요. 깃털 화석에
남아
있는 어두운 색소(멜라노좀)가 퍼진 모양을 현생 동물의 것과 비교하면 몸 색깔도 알아낼 수 있지요. 이런 방식으로 시노사우롭테릭스는 꼬리에 갈색 줄무늬가 있었고, 안키오르니스는 까만 깃털 끝에 하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