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0년 만에 솔로 탈출한 멸종위기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생물학자들은 공개구혼 사이트에 로미오의 사연을 올려 많은 사람들의 후원을 받았어요. 덕분에 1년간 볼리비아 숲을 뒤져 3마리의 수컷과 2마리의 암컷을 찾았지요. 이 중 1마리가 로미오의 여자친구가 된 거예요. 프로젝트를 이끈 볼리비아의 코차밤바 자연사박물관장 테레사 카마초는 “환경 ... ...
- Part 3. 플라스틱의 숙제, 함께 풀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모습이 인터넷을 통해 퍼지면서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 운동에 동참하고 있지요. 이 운동에 우리의 힘을 보탤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작년 12월 19일, 유럽연합(EU)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시키는 법안에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신의 한 수’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물건 나르려면 4족, 일 잘하려면 2족 팔이 달린 덕분에 인간이 다양한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었다면, 로봇의 경우는 어떨까요. 로봇의 목적이 험한 지형에서 물건을 나르는 일뿐이라면 로봇이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개, 소, 말처럼 네 다리로 기어 다니게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내에서는) 내가 책임자고, 난 괜찮으니까 네가 편하다면 머리는 묶지 않아도 돼.” 덕분에 케이디는 대중 강연을 할 때마다 사방으로 둥둥 떠 있는 곱슬머리 사진으로 무중력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플루트 선율로 우주를 노래하다지난 호에 소개했던 우주인 니콜 스탓(Nicole Stott)이 그림으로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위한 움직임이 활발했다”며 “석주명이 그동안의 연구를 토대로 빠르게 기틀을 잡아준 덕분에, 우리 나비에게 우리 이름을 단시간에 되찾아 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석주명은 나비 연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세계 공용어로 개발돼 한창 연구 중이던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00kg짜리 바벨 운동은 40회까지도 거뜬했다. 체내에서 동화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 덕분이었다.동화작용이란 몸속에서 지방을 태우고 단백질(특히 근육) 합성을 촉진해 전반적인 신진대사율을 높이는 작용이다. 당시 그의 몸(키 187cm, 몸무게 118kg, 체지방 5%)은 보디빌더 출신 배우이자 전(前) 미국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말했다. 스카이 캔버스 프로젝트는 과학기술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 덕분에 정기적으로 관측되지 않는 상부 대기권을 관측할 수 있고, 대기권을 통과하는 유성 입자의 경로와 방법을 연구할 수 있다. ALE는 “많은 사람들이 우주에 대해 관심과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싶다”고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을 이야기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 그건 매일매일 전 세계에서 쏟아지는 과학 연구 덕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과학동아가 우리의 일상과 과학과의 연결고리를 계속 찾아 나갔기 때문이기도 하다.과학과 대중을 연결하며 소통하는 과학기술학자인 홍성욱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서가명강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하면서 미술과 미술사 수업을 들을 예정이다.스탠퍼드대가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덕분에 컴퓨터공학 수업들도 인기가 많다. 보통 한 수업이 300~400명 규모다. 나 역시 그 인기에 편승해, 화학과 미술 다음으로는 컴퓨터공학 수업을 많이 들었다. 가장 기초적인 수업 두 개(Java, C++)는 2인 1조로 ... ...
-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랑앵무도 사람의 말을 따라할 수 있는 종이야. 앵무새에게 있는 특별한 유전자 3개 덕분이지. 이 유전자는 다른 종의 발성을 배우고 따라 하는 발성학습 능력과 관계가 있어. 지난 2014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김희발 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조류들의 유전자 8000여 개를 분석한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