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독특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한 번쯤은 보았을 거예요. 하지만 10000BC에는 이 친구들 말고도 우리가 잘 모르는
독특
하고 신비한 거대 동물들이 사람과 함께 살았답니다.10000BC의 또 다른 거대 동물 친구들을 소개합니다.● 몸무게가 4톤이 넘는, 메가테리움언제 살았나요? 190만~8000년 전.얼마나 클까? 몸길이가 무려 6m나 되고 ... ...
네안데르탈인은 개구리처럼 말했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말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 요소다.맥카시 교수는 “미묘한 차이긴 하지만 네안데르탈인의
독특
한 발음이 그들의 언어 발전에 장애가 됐을 것”이라며 “앞으로 네안데르탈인이 말하는 문장 전체를 재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2008 중학생과학올림피아드로 오라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참가자들은 통계의 ‘정규분포’라는 개념이 낯설어 식은땀을 흘리기도 했다.
독특
한 문제 유형에 놀라는 학생들도 있었다. 현재 과학기술이 융합코드로 발전하는 맥락에 발 맞추듯이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수학, 정보를 넘나드는 통합적 사고력을 중점적으로 측정했다. 자연 현상 ... ...
사랑은 다채롭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아가페….세상엔 다양한 종류의 사랑이 흘러넘친다.이 사진은 크로마토그래피라는
독특
한 발상으로 과학동아에 사랑을 ‘고백’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검은색 잉크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의 잉크가 혼합돼 있다. 따라서 검은색 잉크로 종이에 글씨를 쓰고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성질을 띠고 있다. 리튬은 작은 수분에도 강력히 반응해 빛과 열을 발산한다. 이런
독특
한 성질 때문에 리튬을 전지에 사용할 때는 이온상태로 주입한다. 금속보다는 이온 상태가 상대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이다.전지 내부에 채워진 유기전해물질도 또 다른 위험요소다.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특징이 더 많은 고세균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돌파구가 열렸다. 우스 교수는 “
독특
한 생명체인 고세균은 세포의 관점에서는 원핵생물이지만 사실상 진정세균보다는 진핵생물과 더 밀접히 관련돼 있다”며 “이들은 단순한 생명체이기 때문에 고세균을 연구하면 진핵생물의 특징과 진화에 대한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잃은 암컷의 ‘숨은 무기’국내에 서식하는 자나방은 600여 종이다. 자나방의 애벌레는
독특
하게 몸의 6번째와 10번째 마디에 배다리가 있다. 이를 이용해 기어가는 모습이 마치 자(尺)로 재는 것처럼 보여 ‘자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겨울에 발생 과정을 거쳐 나방이 되는 종을 겨울자나방이라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캉타우’를 단행본으로 샀다. 1970년대 ‘새소년’이라는 잡지에 연재되던 아주
독특
한 캐릭터로 로봇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이다. 다운받거나 빌려보지 말고 맘에 드는 작품은 꼭 사서 소장하기를 바란다.3. 과학동아 자매지로 격주간 ‘어린이과학동아’가 있다. 혹시 지면이 주어진다면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컴퓨터 자판을 칠 때 들리는 소리를 잘 들어 봐. 컴퓨터 자판을 칠 때도 사람마다
독특
한 리듬을 갖고 있을 거야. 하지만 자판을 치는 리듬은 기분이나 신체 상태에 따라 쉽게 변한다는 단점이 있지.피부피부는 뭐가 다를까? 피부는 겉이 아니라 속이 달라. 피부 속은 빛으로 본단다. 피부에 빛을 ... ...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미는 왜 나비의 알을 자신의 알이라고 착각하는 걸까. 내시 박사는 개미가 자신의 알을
독특
한 냄새로 알아본다는 사실에 착안해 나비와 개미의 알에서 풍기는 냄새를 각각 분석했다. 그 결과 나비와 개미의 알이 갖고 있는 화학물질이 60% 비슷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뻐꾸기가 다른 새의 알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