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배불뚝이 들창코에 무능한 남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가 있다. 2009년에 개봉한 ‘거짓말의 발명’ 이라는 영화다. 이 영화는 반전은커녕 그 흔한 액션 한 컷도 없고 전혀 코믹하지 않지만 묘한 매력을 갖고 있다. 이 영화의 배경은 우리가 사는 세상과 똑같지만 ‘거짓말’ 이 없다. 말 그대로 ...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지난 해 여름, 경북 경주 읍천 해안에서 부채를 활짝 펼친 듯한 주상절리가 발견됐다. 그동안 해안가에 주둔했던 군부대가 철수하면서 바깥 세상에 드러난 것이다. 주상절리 하면 흔히 떠올리는 육각기둥의 모습이 아니라 더욱 신비하다. 그런데 국수처럼 휘어지고 대도시 마천루처럼 빛나는 주상 ...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최근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지난 10년 동안 가장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과학 분야 10개를 선정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인간 미생물군집(human microbiome)에 대한 연구다. 미생물군집이란 어떤 환경에 살고 있는 미생물 전체를 뜻하는 말로 195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조슈아 레더버그가 처음 썼다. 인 ...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가축이 300만 마리를 훌쩍 넘어섰다. 이러다가 대한민국에서 소와 돼지가 멸종하겠다는 이야기까지 공공연히 나돈다. 구제역이 이렇게 큰 피해를 입힌 데는 초기에 방역을 제대로 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 가축을 좁은 공간에 가둬 기르는 공장식 축산 시스템이 근본적인 문제라 ...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전국 고등학교에 별종 과학 교과서가 떴다. 1학년들이 3월부터 배우기 시작한 융합형 과학이다. [힘과 운동] [원자와 분자] 등 익숙한 개념은 온데간데 없고 빅뱅과 생명의 진화, 현대문명을 중심으로 파격적인 구성이 펼쳐진다. 지금까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심으로 과학을 배웠던 사람들은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3호
- #1희망의 옹달샘 - 무동력 정수기마실 물을 구하기 위해 하루에 몇 km씩 걷는 사람들. 비록 흙탕물이건만 살기 위해 그런 물이라도 마신다.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를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이런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오염된 물로 인해 질병에 걸리기 쉽다. 이번에 황당맨 ...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Vi33-16, Vi33-25, Vi33-26.손가락만 한 크기의 뼈 세 개에 인식표 번호가 선명하다. 1980년 지중해 동쪽 크로아티아의 빈디야 동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의 유골. 4만여년의 긴 시간을 동굴 속의 차고 건조한 공기만을 마시며 견딘 끝에 다른 인류의 손에 수습됐다. 기구하다면 ...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색색의 화려한 15개의 공과 빨간 연지를 찍은 1개의 하얀 공.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공을 구멍(포켓)에 넣는 게임을 우리는 흔히 ‘포켓볼’이라고 부른다. 영국에서 귀족들의 사교 게임으로 시작된 포켓 당구는 최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 레포츠로 발전해 왔다. 특히 당구는 올해 열리는 제92회 전 ...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구공학을 실행한다면 미래 모습은 어떻게 펼쳐질까. 지금까지 논문으로 발표된 지구공학 아이디어들을 땅과 바다, 하늘 및 우주로 나눠 정리해 봤다. 영국 학술원이 2009년 발간한 보고서 ‘과학, 정책 그리고 불확실성’에 근거해 효과, 비용, 시간, 안전 점수를 매겼다. 가장 실현 가능성 높은 아 ...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우리나라 전체를 뒤덮는 망원경이 있다. 지름이 478km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이다. 이 거대한 관측망은 연세대, 울산대, 탐라대에 각각 하나씩 있는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로 이뤄진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KVN은 한반도를 넘어 중국과 일본까지 아우르는 지름 8000km짜리 동아시아 VLBI(초장거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