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용
유익
실천
실제
유효성
d라이브러리
"
실용
"(으)로 총 1,505건 검색되었습니다.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보장받은 것이다."조립식 벽돌을 더욱 연구개발, 소비자들에게 값이 싸면서도 좀더
실용
적인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다부진 포부를 밝히는 김씨는 조립식 벽돌에 이어 최근에는 '조립식 장롱'을 발명, 또다시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모르면 손해보는 발명가에 대한 지원이처럼 사람들이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초격자구조 등이 있다.신금속재료는 기존 금속의 특성향상을 도모하거나 선진국에서
실용
화돼 기술적으로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분야의 국산화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초내열합금 신자성합금 고강도경량합금 전자냉각용재료 등이 이에 속한다.고분자분야는 70년대 외국기술의 도입으로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고무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핵연료의 개발성과가 좋다면 곧
실용
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플루토늄의 가공이 약간 어렵다는 정도의 기술적인 문제가 있지만 곧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핵무기의 감축논의는 원자력시대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혀를 대신하는 후각센서와 미각센서가 그것이다. 후각센서에 상당하는 가스센서류가
실용
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가지 종류의 가스와 냄새를 예민하게 구별하는 것은 아직도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특히 우리의 혀와 같이 맵고 짜고 신 맛과 쓴맛을 구분하는 계측센서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최근에는 이웃 일본도 자기네의 과학기술력을 과시하기 위해 막대한 상금을 내건 세계규모의 과학상들을 제정했다.해마다 10월에 발표되 ... 수상을 독점했던 90년과는 달리 유럽 3개국에서 고루 수상자가 나왔다는 점이 특징적이며
실용
적인 기여도에 후한 점수를 주었다는 것이 눈에 띈다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난방시킬 수 있을 정도였다. 에니악은 원래 조사용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오랫동안
실용
화되지 못했다. 1951년 상용 컴퓨터인 유니백이 등장하여 본격적인 컴퓨터 시대를 선언했다. 이로부터 40년이 지난 지금 유니백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의 개인용 컴퓨터가 개발되어 작은 책상 위에서 성능을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은 크나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빨래꼴의 가독성이 높다는 장점은 문서인식을
실용
화하는데도 크게 기여하리라는 점이다. 입력과정의 문제첫소리와 끝소리를 구분할 수 없다는 문제는 컴퓨터에서 두벌식으로 한글을 입력할 때 여실히 드러난다. '문제'라는 단어를 두벌식과 세벌식으로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침적성냥이 된다. 1848년 독일의 R.뵈트거가 붉은 인 안전성냥을 발명했는데 이것을
실용
화한 사람은 스웨덴의 리엔드스트롬이다. 그는 1866년 성냥갑의 측면에 붉은 인과 모래를 발라두고 거기에 성냥개비를 비벼서 불을 켜는 방법을 개발했다.다음의 성냥에 대한 이야기 중 잘못 말한 것은?① 흰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루고 있으며 이 이론들은 단순한 이용을 넘어서 새로운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실용
화되는 수준으로 진전되고 있다.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정의된 분야에서 특별한 발전이 폭발적으로 일어났던 제 1, 2 과학 혁명의 경우와는 달리 제 3의 혁명은 여러 분야의 전단(front)에서 고르게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유하량(discharge) 또는 홍수량의 단위는 단위시간당 흘러내린 물의 부피다. 이것의
실용
단위는 '㎥/초'(1초당 입방미터)이다. 그런데 방송보도 등에서 '1초마다 1입방미터'는 음절이 길어 쓰기에 불편하다 보니 물 1㎥의 무게가 약 1천kg 또는 1t이 된다는 계산에서 1㎥/초 대신에 1t/초를 대용하는 경우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