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쌍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빠져나가지 못하고 되돌아와 아파트에 균열이 생긴 사례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여의도
쌍
둥이빌딩이 생김으로써 바로 이웃인 공작아파트에 영향을 미쳤다. 이 두가지 예는 대형 건물로 인해 초저주파에너지가 반사돼 건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경우다.이와는 조금 성격이 다르지만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여느 고양이과의 동물처럼 몸 안으로 감추지 못한다. 네다리는 굵고 짧으며, 배에는 세
쌍
의 젖꼭지가 있다.털은 거칠고 끝이 가늘며 뾰족하다. 몸은 회백색인데 갈색털이 섞여 있다. 보통 짐승과는 달리 등쪽인 윗면보다 배쪽인 아랫 면의 털색이 암색(暗色)이다. 등쪽털의 아랫부위는 백색에 가깝고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오히려 그냥 지나쳐 버릴 수도 있다. 8등급의 아령 성운은 썩 좋지 않은 하늘 상태에서도
쌍
안경 상에 얼룩진 덩어리로 보여진다. 그 최대 지름은 만월의 4분의 1정도로 고리 성운보다 8배나 더 크고 밝아 작은 관측기구로 볼 수 있는 가장 멋진 행성상 성운이다. 망원경을 통해 볼 때 아령 성운은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중 하나다. 맑은 밤에는 맨눈으로도 뿌연 안개덩이 형태의 M13성단을 알아 볼 수 있다.
쌍
안경을 이용하면 보름달의 3분의1정도 지름을 가진 구형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밝기는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별들이 더 집중돼 있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태양의 1천배에 달하는 빛을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 순식간에 생겼다가 또 서로 상쇄(0→+-→0)되는 과정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 입자의
쌍
은 실제 입자처럼 직접 관측되지는 않지만 그 효과는 원자속의 전자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으로 검출된다.그러므로 진공의 에너지는 0이 아니라 오히려 엄청나게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이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속에 들어가 더위를 피한다. 그들의 입은 작고 주둥이 끝이 밑으로 나있다. 입가에는 5
쌍
의 수염이 나 있는데 진흙 속에서 먹이를 찾는데 큰 구실을 한다. 미꾸라지가 알을 낳을 때, 수컷은 암컷의 배를 감아 죄어서 알을 짜낸다. 대체로 암컷이 수컷보다 덩치가 크다.2. ② 호랑이는 남위 8˚선상에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작은 다이아몬드'로 남쪽의 길잡이 역할을 한다.한편 서쪽하늘에는 어깨동무를 한
쌍
둥이가 서서히 모습을 감추고 있고 봄밤의 전령사 레굴루스도 다른 사자자리의 별들과 함께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동쪽 산등성이 위로는 청백색의 직녀가 떠오르고 붉은 빛의 안타레스도 그 남쪽에서 서서히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실행해 버리는 「실례」의 생리학건강한 사람은 하루에 1~20ℓ의 물을 먹어도 이것을 한
쌍
의 신장(콩팥)이 잘 감당하여 소변으로 걸러낼 수가 있다. 그래서 보통 사람의 하루 소변량이 얼마냐 하는 것은 그 사람이 하루에 얼마나 물을 많이 먹느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평균적으로 보았을 때 1천5백ml ... ...
쌍
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포함된다. 이 은하군들은 더 큰 구경의
쌍
안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고, 이중 M96만이 10×50
쌍
안경에게 작고 흐릿한 모습을 보여준다.지금까지 봄하늘의 은하군들을 살펴보았다. 만약 우리가 봄철하늘에서 특별한 장소를 향하면 소위 은하단이라 불리는, 은하들이 가장 밀집된 지역을 볼 수 있다. 이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구멍이 한 줄로 나열돼 있다. 아가미는 속이 주머니 모양으로 돼 있으며 구멍이 좌우로 7
쌍
이나 있어 칠성장어라 불린다. 칠성장어는 강에서 태어나는데, 바다로 내려가 사는 것과 평생 강에서 사는 것이 있다. 이들과 비슷한 종류로 먹장어가 있다.(5) ① 오소리는 족제비과에 속하며 발가락이 5개다.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