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상처가 생기면? 따개비 접착제!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5초 내에도 단단하게 경화돼 상처 부위를 완전히 봉합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육
연구원
은 “의료 환경에서 피가 나는 조직을 봉합할 때는 물기와 오염 등을 제거해야 한다”며 “해양 환경에서 서식하는 따개비가 출혈 치료를 하는 것과 똑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이를 용매에서 분리해 다시 합성하면 깨끗하고 품질 높은 PET를 생산할 수 있다. 오 선임
연구원
은 “현재 해중합에 활용할 촉매가 많이 보고돼 있다”며 “색소 첨가물이나 음식 찌꺼기 등으로 순도가 낮아진 플라스틱 폐기물을 해중합할 경우 촉매의 내구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면 상용화도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운영하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NEOWISE’ 등으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김 선임
연구원
은 “평시에는 NASA와 더불어 전 세계에서 정보를 수집해 감시하고, 지구위협소행성 등이 나타나면 국내외에서 운영하는 장비를 동원해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소행성의 궤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이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임상시험을 책임져 준 국가영장류센터의 공이 크다. 홍 책임
연구원
은 “처음 제안할 때는 당장 필요하지도 않은 걸 비싼 비용을 들여가며 굳이 해야 하냐는 혹평도 많이 들었다”며 “하지만 코로나19 영장류 모델을 발표하는 현장에서 과거 혹평했던 사람들조차 박수를 ... ...
윤리에 눈 뜬 AI, 망각에 손 내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빠르게 삭제시키는 알고리즘을 채택했다. 사인바야르 수크바타 페이스북 AI 연구소
연구원
은 아카이브 공개 논문에서 “AI가 학습하는 모든 데이터의 가치가 같은 것은 아니다”라며 “익스파이어스팬 기술을 활용하면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과 데이터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 ...
[과학뉴스] 밤바다에서 어린 물고기가 반짝반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월 30일,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데이비드 존슨
연구원
과 스쿠버다이버 제프 밀리슨 공동연구팀은 야간 스쿠버다이빙을 통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어린 물고기들의 실제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어요. 물고기는 알에서 깨어난 후 다 자랄 때까지 여러 모습을 거쳐요. 알에서 깨어난 ... ...
[한페이지 뉴스] 단백질 구조 예측 AI 소스 모두에게 공개되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침입할 때 이용하는 비구조단백질2(Nsp2) 구조를 밝혀냈다. doi: 10.1101/2021.05.10.443524 백
연구원
은 “로제타폴드와 알파폴드2 모두 공개된 단백질 서열과 구조를 토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당연하다”며 “AI는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의 돌파구이기 때문에 많은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 관측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발생한 뜨거운 열이 여전히 잔류해 방출(약 160℃)되는 빛이 있어 관측할 수 있었다.장
연구원
은 “엄청난 폭의 행성 궤도를 가진 COCONUTS-2 행성계는 우리 태양계와 매우 다른 모습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단서를 추적하고 있다.필자가 속해 있고 이번 공평15·16지구 발굴을 주도한 수도문물
연구원
은 국가 조사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비영리재단법인 연구소다. 유물의 정체가 하나씩 확인될 때마다 우리는 모골이 송연해졌다. 혹여 분실을 하거나 보존처리를 하며 유물을 훼손하게 될까 ... ...
[이슈] 네안데르탈인이 인간보다 먼저 숫자를 알았다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이것 봐, 내가 오늘 얼마나 많은 동물을 사냥했냐면….”여러분이 숫자가 없는 아주 옛날 옛적에 살았다고 상상해봅시다. 오늘 하루 사냥한 동물이 얼마나 많은지 기록으로 남기고 싶어요. 지금까지 사냥한 것 중 가장 많은 동물을 잡아서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고 싶거든요. 이때 몇 마리를 사냥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