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성"(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싶다면 수학을 열심히 공부하시기 바랍니다.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내 게임이?!게임을 완성한 참가자들은 조교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아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게임을 출시했어요. 출시를 위해서는 게임 제목 및 게임에 대한 설명을 작성해야 해요. 가장 먼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게임을 업로드한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래서 한 영역에 22가지 색 중 적게는 두 개에서 많게는 네 개까지 섞입니다. 그렇게 완성된 지도가 43쪽의 최종본입니다. 그럼 최종본 지도의 각도를 살짝 틀어보겠습니다. 짜잔~. 자, 이제 이 벌거벗은 뇌에 예쁘게 색을 입혀볼까요? 아직도 막막 하시다고요? 그럼 더 간단하게! 빨간색, 초록색,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용하는 것보다 40% 가량 빨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김 팀장은 “기술적으로 거의 완성 단계에 있어 여러 CCU 기술 중 가장 빨리 상용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당면한 과제는 사용처다. 최종적으로 연 700만t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탄산칼슘으로 전환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를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었어요. 시작한 지 10여 분 만에 사람 몇 명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한 돔이 완성됐어요.돔 구조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오각형과 육각형등 다른 도형을 섞어 만들 수도 있어요. 기본 도형을 어떤 것으로 하느냐에 따라 모양이 변화무쌍하게 바뀌는 신기한 돔이에요. 3. 증강현실로 즐기는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조강연으로 첫 포문을 열었다. 김 원장은 “뇌의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 완성에 필수”라고 말했다. 인간의 지능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지능이 발생하는 방법을 알아내면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어진 본 강연에서도 멀게만 느껴지던 첨단 기술이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뤄진다. 굴착이 마무리되는 2018년 6월쯤에 중간에서 각각 이어지면서 두 개의 터널이 완성될 예정이다.지반을 이루는 암석은 단단함에 따라 극경암, 경암, 보통, 연암, 풍화암 등 5개로 나뉘는데 원산도 쪽 지반은 보통 이상의 암석들이 많이 분포돼 있다. 반면, 대천항 쪽은 연암이나 풍화암이 많아 ... ...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아이들은 당황하지 않고 고사리 손으로 차곡차곡 재료를 조립했다. 20분쯤 흘렀을까. 첫 완성자가 나왔다. 고학년 반의 자존심을 지킨 김현우 학생(경기 화성 마도초 6학년)은 “평소에 손으로 뭔가를 만드는 걸 좋아했기 때문에 재밌게 조립을 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눈에 보는 혁신의 ... ...
- [과학뉴스] DNA가 빛나는 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연구팀은 DNA 총 6만5536개를 접어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DNA 종이접기는 긴 가닥의 DNA를 원하는 모양대로 접는 기술이다.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작은 구조물을 만들 때 유용하지만, 접힌 DNA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놓는 기술이 부족해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자국의 대륙붕 한계를 심사해달라는 서류를 제출했다. 2016년 4월에 보충자료도 완성돼 이번 41차 회의에서 심사에 들어간다.흥미로운 것은 덴마크 정부도 2014년 12월에 심사 요청서를 냈는데 두 나라가 자신의 확장 대륙붕으로 주장하는 영역이 상당 부분 겹친다. ‘로모노소프’ 해령(81쪽 인포그래픽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없다. 각자 관심 영역에 대한 ‘지도’를 조금씩 그린 뒤에 합쳐야 거대한 극지 연구를 완성할 수 있다. 현재 남극대륙 연안해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International Programme for Antarctic Buoys)을 진행하고 있다. IABP, IPAB 둘 다 한국도 올해부터 참여한다.Q 극지 공동연구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은?E 예상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