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리
사운드
음향
노래
음성
목소리
음파
d라이브러리
"
음
"(으)로 총 1,24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컴퓨터의 이름은 '셀마'다. 셀마는 램버튼의
음
성을 인식해 동작하고 처리결과도 입력된
음
색의 목소리로 들려준다. 사진과 그림 등은 홀로그램을 통해 보여주며 모든 일은 서로 상의해서 처리한다. 셀마는 스스로 알아서 일하는 것이다. 컴퓨터 전문가들은 2030년 쯤에는 셀마같은 컴퓨터를 사용할 ... ...
2. 인간 흉내일 뿐 기계 한계점 극복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지식만 가지고는 마
음
이라는 현상을 논의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한지도 모른다. 언젠가 마
음
의 세계를 설명할 수 있는 물리적 체계가 확립된다면, 그리고 지금과는 전혀 다른(튜링 기계가 아닌) 형태의 계산체계에 기반한 컴퓨터가 등장하게 된다면 논의는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설 수 있을지 모른다 ... ...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자체를 전기적 중성으로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천체가 플라스마 상태에 있
음
에도 불구하고 공기 같은 보통의 유체를 다루는 방법으로 이들을 기술할 수 있다. 단 자기장이 있을 때는 플라스마의 고유한 특성이 나타나므로 예외가 된다. 이것을 살펴보기 위해 플라스마가 자기장과 ... ...
기상이변의 말썽꾼 엘니뇨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동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4)처럼 남방 진동 지수가 붉은 색으로 표시되는
음
의 큰 값을 가질 때가 엘리뇨 기간이며, 이와는 반대로 푸른색으로 표시되는 양의 큰값을 가질 때가 라니냐 기간이다. 이는 대략 3-7년 주기를 보이나 최근에는 엘니뇨 기간이 연속됨을 보여준다.엘니뇨와 라니냐 ... ...
1 크게 보면 같은 꼴-시작도 끝도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우주팽창하면서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그 기운이 어느 한 시기에
음
의 압력을 내게 되고,
음
의 압력은 물질 사이에 밀힘을 일으켜 우주공간이 급팽창하고, 공간이 팽창한 만큼 우주의 에너지가 증가한다고 한다. 이 에너지가 급팽창이 끝날 때 물질로 바뀌는 것이다.약 1백50억년 뒤에 태어나 있는 ... ...
3 마
음
까지 읽는 영상진단기기 PET 등장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참여하는 것을 뚜렷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정상인의 두뇌활동 육체활동 마
음
의 변화, 즉 기쁠 때 슬플 때 괴로울 때의 뇌를 영상화하는 연구와 신체의 어느 특정부분을 움직일 때의 뇌 활동을 탐구하고 있다.이 연구가 진전되면 소위 독심술이 성공하여 상대방이 자기를 좋아하는지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동양의 인간관과 자연관에 뿌리를 둔 기(氣). 과연 기의 실체는 무엇인가. '보이지 않는 기'를 어떻게 인식해야 되는 것일까.평상시에 우리는 기와 관련된 표현 ... 작용은 바라보고 생각함으로써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해 느끼는 것이다. 실천이란 몸과 마
음
을 사용한 수행이다 ... ...
[3] 궂은 날 지병 악화, 기의 인체 영향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형태도
음
기의 영향을 받아서 안을 향하여 쪼그라들고 우그러든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음
기 동물들은 대체로 냄새 맡고(嗅) 맛보는(味) 능력이 발달돼 있다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목적에는 앞에서 말한 것(접선을 긋는 것)외에 '연속적인 곡선의 상승률'의 계산도 있
음
을 알 수 있다. 우주론미적분은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각각 독립적으로 만들었다. 그 중 뉴턴의 미적분학은 '유율법(流率法)'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뉴턴은 한없이 커지는 양을 유량(流量) 이라고 말했다. 다시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관중도 없는' 연구실에서 날밤을 세운 2세대 과학기술자의 의견을 경청하여, 3세대들이 마
음
껏 활개칠 수 있는 한마당을 만들어 줄 때 비로소 노벨상 콤플렉스를 벗을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