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배"(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여기서부터 소개할 두 개의 다중우주는 테그마크 교수가 분류한 4단계 분류에서는 2단계에 속하며, 비교적 새로운 다중우주 아이디어다. 모두 최신 끈이론과 관련이 있다. 특징 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다중우주이 우주는 기사에서 소개한 나머지 다섯 개의 다중우주와 전혀 다르다. 다른 다중우주들 ...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이곳에서 생산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입니다. 전 국민이 최소 100년 간 전기세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지요.”가까운 미래에 동해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한반도’가 최근 전파를 탔다. 드라마처럼 되려면 사실 아직 갈 ...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원모 대리는 요즘 불룩 튀어나온 뱃살 때문에 자신감을 상실했다. 잦은 회식과 운동 부족으로 입사 1년 만에 체중이 무려 10kg이나 불어나면서 인격을 상징한다는 ‘배둘레햄’이 생겼기 때문이다. 입사 초기 여직원들에게 ‘샤프남’ 소리를 들었지만 이제는 눈길조차 받지 못하는 ‘아저씨’가 되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우리는 M! I! B! 바로 Math In Black이지. 어둠 속에서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는 특수 조직이야. 우리를 Men In Black이라고 착각하진 말아 줘. 우린 그 친구들처럼 우주를 다 부술 기세로 외계인을 찾거나 하지 않아. 우리는 우아하게 수학으로 외계인을 찾지.영국의 솔즈베리에서 발견된 두 개의 원형무늬나 ...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수학동아 l2012년 04호
- 1912년 4월 10일, 영국 잉글랜드의 남해안을 떠나 뉴욕으로 향하는 배 한 척이 출항했다. 이 배는 당시 최고의 과학기술을 자랑하던 선박회사가 만들어 낸 ‘타이타닉 호’라는 초호화 여객선이다. 타이타닉 호는 남다른 규모와 품격, 화려함으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그러나 타이타닉 호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규정 타석을 만족시키는 타자 수가 연간 30~40명에 불과해요.”“생각보다 ‘빅데이터’가 아니네요?”지난 3월 10일 토요일 오전 서울 신사동의 한 옥탑방. 이곳에 모인 12명의 사람들이 의외라는 표정을 지었다. 엑셀로 그린 그래프를 살펴보던 중이었다.“그래도 자료를 여러 사람이 나눠서 검증 ...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과학동아 l2012년 04호
- [➊ 화학무기가 첫 등장한 제1차 세계대전. 신경가스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방독면을 쓰고 있다. ➋ 1994년 도쿄 지하철에 사린가스 테러가 일어나 순식간에 13명이 죽고 6000명이 부상을 입었다. ➌ 사린가스 폭탄이 담겨 있는 미사일.]1915년 4월 22일 제1차 세계대전 중이었다. 프랑스 솜에서 연합 ... ...
- 우주망원경 총정리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흔히 우주를 텅 빈 암흑의 공간이라고 부른다. 보이는 것이라고는 가까운 태양계 내 천체를 빼면 아주 멀리 떨어진 별이나 외부은하에서 오는 빛이다. 그것도 우리 눈에는 기껏해야 작은 점으로만 보일 정도로 약하다. 이런 약한 빛에 의존해 먼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은 어떻게든 빛을 가로막 ...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진수 직전 타이타닉의 모습. 총 3327명이 탈 수 있는 거대한 배를 만드는 데 26개월이 걸렸다.]1912년 4월 15일 밤, 캄캄한 북대서양 하늘에 반짝이는 섬광이 빛났다. 동시에 다급한 전파 신호도 텅 빈 공간을 가로질렀다. 침몰 위기를 마주한 배가 절박한 심정으로 보낸 구조 신호였다. 그러나 눈부신 섬 ...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피타고라스(Pythagoras, ca. 570~498 BC)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수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수학을 비롯해 소리를 연구하는 음향학으로도 유명하답니다.그 중 ‘망치의 전설’은 꽤 유명하죠. 두 망치의 무게비가 2:1이면 ‘도’에서 ‘도’ 사이에 해당하는 옥타브 간격의 음정을 만들고, 무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