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필요한 수학 학습의 ‘꿀팁’을 연재합니다.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요! 저는 방학이 시작되면 일과표를 만드느라 하루를 다 써버리기도 했습니다. 하루를 30분 단위로 쪼갠 동그란 원 안에 적힌 것이 많으면 그렇게 뿌듯할 수가 없었죠. 하지만 계획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은 다른 ... ...
- [기획] 저자와 함께하는 북토크쇼 이의 있습니다! 재판의 오류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청해 듣겠습니다. 뜨거운 박수 부탁드립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저자와 함께하는 북토크쇼, 이의 있습니다! 재판의 오류Part1. [기획] 사건1. 억울한 간호사 루시아 더베르크Part2. [기획] 사건2. 유력 증거 확인 기회 놓친 유학생 살인 사건Part3. [기획] 사건3. UC 버클리 성차별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됐어요. 수학으로 대화할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합니다! Q 폴리매스에 참여하길 주저하는 친구들에게 조언해 주세요.틀려도 괜찮아요! 폴리매스는 자신이 아는 지식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수학 지식을 배워가는 곳이에요.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하지만 폴리매스에서 활동하다 보면 ...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Q.사람들이 NIAC에서 진행한 연구가 너무 공상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저는 NIAC가 지금은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생각해요. 많은 NIAC 연구는 어렸을 적의 꿈이나 SF 소설의 아이디어가 현실에서 가능한지 다루고 있거든요. 만약 연구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와도, 그 결과가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감싼 채로 보관하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반물질을 충분한 양으로 모으는 연구가 먼저 진행되어야 하겠지만요. 반물질을 1g 이상은 모아야 하는데, 지금은 원자 하나 하나를 겨우 만드는 정도거든요. Q.아직 현실이 되려면 한참 멀었군요?하지만 많은 연구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기 전에 ... ...
- 푸느냐 못 푸느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 난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끙….”저 멀리 어둠 속에서 앓는 소리가 들리고 있어요. 무슨 소리일까요? 어렵기로 소문난 ‘과학 난제’의 어둠 속에서 헤매고 있는 과학자들이 내는 소리랍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이들에게 한줄기 빛이 되어줄 멋진 아이디어가 이 어둠을 물리쳐 줄 테니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이제 태양계 바깥 외계행성을 찾는 장면을 만들 차례! 외계행성을 자세히 관측하려면 엄청 큰 망원경이 필요할 텐데…. 응? 태양을 활용하면 외계행성 ... 보실 수 있을까요?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탐사선을 더 빨리 날도록 만들거나, 더 오래 살거나. 저는 두 가지 모두를 계획 중이랍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삐비빅-, 휘요 휘요, 소↗쩍 소↗쩍, 새들은 저마다의 음을 반복하며 지저귄다. 새들이 내는 음들은 몸속에 마치 메트로놈을 가진 것처럼 박자가 일정하다. 최근 새들이 정확한 타이밍에 음을 낼 수 있는 원리가 밝혀졌다.마이클 롱 미국 뉴욕대 랑곤메디컬센터 교수팀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조언했다. Q 앱을 개발한 이유가 무엇인가요?개인적으로 답답한 경험을 했습니다. 저는 세 아이를 둔 아버지라 종종 아이들의 수학 숙제를 도와주는데요. 아이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 꽤 어려운 일이더라고요. 마침 포토매스(PhotoMath) 앱을 개발하기 전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해 ...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광합성이 일어난답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만든 포도당을 녹말 등 영양분으로 바꿔 저장해요. 그리고 이를 양분을 운반하는 통로인 체관으로 뿌리, 줄기, 잎, 열매 등 필요한 곳에 보내지요. 이 과정을 거쳐 식물이 자라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거예요. 한편,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산소는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