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판
테스트
시험
시세
판단
견적
데모
d라이브러리
"
평가
"(으)로 총 4,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진행한다. 총 5점 만점이고 4.5점 이상이면 ‘최우등’, 2.5점 미만이면 ‘낙제’라는
평가
를 받는다. 낙제한다고해서 상급 학년에 진급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현재 국내 한 대학에서공부하고 있는 새터민 B씨는 “한국에서는 시험 문제에 객관식이 있어서 조금 쉬운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다른 한쪽은 그대로 두면, 대체로 색을 넣은 쪽에 향이있다고
평가
한다. 입에 넣고 향을
평가
하게 하면 반대로 색이 없는 쪽이 향이 강하다고 느낀다. 우리의 감각기관이 얼마나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지 말해주는 예다.냄새초콜릿 맛의 정체는 향!초콜릿 맛 성분이란 없다. 그런 맛을 느끼게 하는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않는 이상 꿀벌이 꿀맛을 어떻게느끼는지는 영영 알 수 없다. 감각이라는 게 객관적인
평가
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누가 알겠는가. 어쩌면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훨씬 더 황홀한 느낌으로 매일 꿀을 영접하고 있을지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관중 대학까지는 교육과 연구라는 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똑똑한 사람이 무조건 높은
평가
를 받게 돼있습니다. 고등학교는 더 하겠죠. 하지만 사회에 진출하면 그렇지가 않습니다. 똑똑한 것도 중요하지만 조직 안에서 다른 사람과 얼마나 소통을 잘 하느냐, 얼마나 성실하게 임하느냐가 정말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친밀도를
평가
했다. 그 결과 외로움을 느꼈던 참가자는 취향이 비슷한 이를 더 친밀하게
평가
했다. 반면 자연스러움과 지루함을 생각한 참가자는 객관적인 조건이 비슷한 이들에게 더 높은 점수를 줬다. 혼자서 외롭게 포켓몬을 즐기던 덕후 역시 자신과 취향이 비슷한 친구를 만나는 즐거움 때문에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무한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려고 한 도전정신은 높이
평가
한다”며 “다만 아직까지는 기술이 다른 곳에 응용될 여지는 낮다”고 말했습니다. 조금 김이 새지만 어쩌겠어요. 무한까지 가는 길이 이렇게 멀고 험하답니다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하기 위해섭니다. 문화 충격도 대비해야 하고요. 캠프지 주변에서 훈련파트너를 구해
평가
전을 치를 수도 있습니다.아 출국 전에는 어떤 준비를 하나요?해 현지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생활패턴을 조절하죠. 양궁을 예로 들어볼까요. 이번 올림픽의 양궁경기장은 특이하게 활을 쏘는 곳이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의견을 경청하고 비판하며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집을 완성하고 나면
평가
회의를 하는데, 이때 성취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지요.학생들은 평소에 몰랐던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문집 활동은 학생들의 정서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지식을 넓히고 더 나은 학교생활을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담기게 되지요.보이얀 슬랫의 아이디어는 해양쓰레기를 청소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평가
를 받았어요. 그리고 전세계에서 아이디어를 후원하는 사람들의 도움으로 ‘디오션클린업(TheOceanCleanup)’이라는 비영리 회사까지 만들어졌고, 아이디어는 실행에 옮겨지기 시작했지요.이 프로젝트는 올 봄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생체모방공학과 세포를 빛으로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결합한 ‘작품’으로
평가
받았다. 과연 어떤 로봇일까.한·미 공동 연구팀이 동물세포로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로봇을 최초로 개발했다.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 응용과학대 위스연구소 박성진 연구원과 케빈 파커 교수, 최정우 서강대 교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