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핏줄
혈맥
피쭐
핏줄기
d라이브러리
"
혈관
"(으)로 총 1,207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뇌경색의 원인이 되는 혈전(핏덩어리)을 녹여주는 물질이다. 쉽게 말해 막힌
혈관
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약이다. 이 약의 열렬한 팬중 한사람인 연세대 심장내과 이웅구교수는 "임상에 적용해 보니 TPA의 효능은 참으로 놀라웠다. 기존의 혈전증 치료제인 유로키나제보다 몇수 위"라고 단언한다. ... ...
2 침술로 암치료까지 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혈관
겸자(鉗子)로 지방조직을 노출시켜 콩알 또는 녹두알 크기의 지방조직을 적출하고
혈관
감자로 절개한 부위에 강자극을 주는 요법으로써, 생체의 항병력을 촉진하고 기능을 개선한다. 한편 도치(挑治)요법이란 국소마취 후 메스로 피부를 절개하고 침끝으로 피하섬유조직을 깨끗이 우벼내어 ... ...
임산부 흡연 「밀실 살인」행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주원인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등을 들 수 있다. 니코틴은
혈관
을 수축시켜 태아로 흐르는 혈류량을 감소시킨다. 일산화탄소는 산소를 세포로 운반하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산소공급을 방해한다. 이 두 작용에 의해 태아와 태반에 저산소 상태가 일어나고 이것이 태반의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반복 기록하여 분석하여야 한다.서파인 δ(델타)파나 θ(세타)파가 나타나면 뇌종양이나 뇌
혈관
장애가 있는 것으로 본다. 또 α파라고 해도 주파수가 8Hz 부근에 주저앉은 경우도 뇌기능의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속 파인 β(베타)파가 9% 이상 나타나는 경우도 이상상태로 보며 지나치게 느리거나 ... ...
3. 알파파와 바이오피드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바이오 피드백의 임상적 효과면에서는 찬반양론이 많은 것이 작금의 실정이다. 편두통
혈관
성 두통 긴장성 두통 소화장애 및 그밖의 정신생리적 장애의 치료에 응용되기도 하고 정상인의 경우에는 학습능률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알파 피드백이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효과가 좀 있는 것 같다" ... ...
4. 이상뇌파로 질병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양측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예파가 특징적이다.그외에도 여러 형태의 뇌염, 뇌경색증(뇌
혈관
이 막혀서 나타나는 증세) 환자를 관찰하면 주기적인 이상뇌파를 발견할 수 있다. 간이나 콩팥이 나빠서 생기는 대사성 질환도 비교적 특징적인 이상뇌파를 보여준다. 뇌에 과전류가 흐르면…뇌파는 간질의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많은 산소를 공급받게 된다. 심장에 이런 압박이 계속되면 부정맥, 지속적인 고혈압상태,
혈관
이 영구적으로 협소해지는 증상 등이 올 수 있다. 수면리듬이 깨지고수면중 산소결핍에 따른 즉각적인 효과는 자연스런 수면리듬의 방해다."정상적인 수면의 경우 잠의 두 형태(렘수면과 비렘수면)가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볼 때 그리 먼 미래의 얘기만은 아닌 것이다.0.001mm 정도의 티끌같은 로봇이 환자의
혈관
을 타고 환부에 도착한 다음 미세칼이나 레이저로 수술을 하는 광경을 상상해 보자. 이때 환자의 옆에 있는 의사는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백배나 확대된 환부를 보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자신은 ... ...
5. 운동이 당신의 몸을 망가뜨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연대 의대 황수관교수(생리학)는 "고혈압 심장병 등 심장 및
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이 운동을 할 경우 돌연사의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고 특히 40대 이후의 혈액순환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일반적으로 조깅은 가벼운 운동으로 ... ...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또 모공이나 땀샘을 통해 흡수되기도 한다. 이 경우 대개 진피층과 맞닿아 있는 모세
혈관
에 흡수된다. 그러나 채 흡수되지 못한 약물은 표피층과 진피층에 있는 효소에 의해 제거되거나 대사된다. 물론 일부는 세포질 속에 축적된다.그런데 자극이나 독성이 강한 약물은 표피층을 투과하면서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