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시
display
진열
전시품
디스플레
전람
뉴스
"
디스플레이
"(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CAR]첨단 기술이 낳은 세련됨… 날렵한 ‘쿠페’
동아일보
l
2015.12.22
불쑥 솟아 있어야 할
디스플레이
화면을 운전석 계기판으로 넣은 것이 대표적이다.
디스플레이
에서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계기판에 넣은 점, 내비게이션 화면과 속도계·RPM 계기판 크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은 혁신이라고 해야겠다. 또 대시보드에 있는 송풍구 가운데에 송풍 방향 및 ... ...
차세대 TV, 더 적은 소자로 밝은 빛 낸다
2015.12.21
발광 소재에서 한 종류의 빛만 발현 가능하다는 이론을 뛰어넘은 발견”이라며 “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포르피린과 혈액 내 금속의 결합을 색으로 발현시켜 신체 상태를 파악하는 바이오 기술 등에 접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시장 1등’ 먹거리 ‘기술 1등’으로 지킨다
2015.12.18
9% 이상 성장해 2021년에는 약 23조 원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
디스플레이
와 LG
디스플레이
가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지만 일본이 올해 1월 정부 주도로 소니 파나소닉 JDI 등 3개 회사의 OLED 사업을 하나로 묶어 ‘JOLED’를 설립하고, 중국 정부도 지난해 육성 계획을 발표하며 1위 뒤집기에 ... ...
OLED-그래핀 만나니 TV가 더 선명해지네
2015.12.15
뜻이 된다. 또 같은 전력을 사용해도 기존보다 더 밝게 보인다. 때문에 이 기술을 OLED
디스플레이
에 적용할 경우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기존 진공 상태에서 OLED를 제조했던 것과 달리 그래핀 전극 위에 필름을 붙이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개발해 제조과정을 ... ...
신형 K7, 삼성 샛별의 차
동아일보
l
2015.12.14
고급스러운 외관과 함께 운전자 앞유리창에 차량 운행 관련 정보를 띄워주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HUD)’ 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기아차는 신형 K7의 외장 디자인을 삼성 임원 승진자들에게 먼저 공개하는가 하면 삼성 서울 서초사옥과 수원사업장 등에 신형 K7을 전시하는 등 적극적인 판촉 활동을 ... ...
한발 빠른 투자… 빛난 OLED 뚝심
동아일보
l
2015.12.10
디스플레이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라며 “P10라인 투자는 한국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OLED를 통해 경쟁국의 추격을 뿌리치고 지속적으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역사적 투자”라고 말했다. 박형준 기자 lovesong@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LED, OLED 다음은 ‘PeLED’!
2015.12.04
가능성도 높였다. 이 교수는 “PeLED는 기존 OLED보다 색순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앞으로
디스플레이
와 조명 산업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나라가 차세대 PeLED 분야에서도 선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스타워즈 속 ‘3D 홀로그램’이 눈앞에 턱!
2015.12.02
이용해 360도 모든 방향에서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을 볼 수 있는 ‘테이블 탑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먼저 3D 프로그램으로 만든 영상을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을 이용해 홀로그램으로 변환하고 이를 광변환기로 방출한다. 광변환기에서 나온 빛은 좁은 틈을 통과하며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산화물 반도체는 금속 산화물을 얇게 펴 만든다. 투명하면서 전기 전도도 조절이 쉬워
디스플레이
나 태양전지용 투명전극 등을 만드는 핵심 소재로 쓰인다. 그러나 금속 산화물을 넓고 크게 만들 때는 전기 전도도가 떨어져 제 성능을 얻기 어려웠다. 또 공기 중 수분이 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 ...
장미 줄기로 전기회로 만들었다
2015.11.22
복잡한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은 셈이다. 연구팀은 또 식물 내부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또 다른 고분자 물질인 변형 ‘PEDOT’를 잎에 흡수시킨 결과 PEDOT가 잎맥 내에서 전기화학적 픽셀 역할을 하면서 픽셀에 전압을 가하자 잎맥의 색깔이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