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뉴스
"
선진
"(으)로 총 1,4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도국이 필요한 자료 볼 수 있는 온라인 책장 만들었죠”
과학동아
l
2016.06.29
” “동의합니다. 한국의 대학도 1980년대 중반까지는 연구개발을 하기보다 주로
선진
지식을 습득해 적용하기 바빴습니다.” 29일 태국 방콕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이사회(UNESCAP) 컨퍼런스 홀에서 개최된 ‘한-유엔개발계획(UNDP) 2단계 사업 워크숍’에서 네팔 카트만두 의과학대 비라즈 카마차랴 ... ...
과학기술인들이 모여 ‘ESC’를 만들었다... ESC의 정체는?
2016.06.18
통해 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기술을 매개로 우리 사회가
선진
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게 기여할 것이다." ▲이진주(소셜벤처 '걸스로봇' 대표) "과학기술계에서 소수자인 여성이 ESC에는 4분의 1 이상이다. ESC가 다양성을 인정하는 열린조직이라는 걸 알 수 있다." ... ...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
2016.06.18
대안이라는 측면에서 소개했었다는 사실이다. 그로부터 불과 2년 반만에 스위스와 같은
선진
국이 도입 여부를 국민투표로 묻는 상황은 상상도 하지 못했던 것. 물론 예상했던 것처럼 부결되었지만, 이는 오히려 끝이 아니라 본격적인 시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 ...
뭉쳐야 산다! 과학계에 부는 ‘오픈’ 바람
2016.06.17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논문 구매가 어려운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국에서도 이용자 수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논문뿐만 아니라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를 공개해 연구 과정까지 공유하는 ‘오픈 데이터’를 지향하고 있다. 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은 2013년 ... ...
한불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 분야 협력 강화된다
2016.06.05
내 스타트업 중심국가로 도약하고 있는 나라로서, 이번 순방은 창조경제 협력을
선진
국으로 확대하며, 기초과학부터 인공지능까지 다양한 과학기술 및 ICT 분야 협력을 진행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마음을 치는 시(詩) 18] “죽음은 싸지가 않다”
2016.06.04
‘식수’(食水)를 사 마신다는 얘기를 듣고 물이 부족하기에 그러려니 했습니다만,
선진
유럽 국가 국민들도 병에 든 ‘식수’를 슈퍼마켓에서 사 마신다 하여 꽤 저는 놀랐었습니다. 그런데 그 후 제가 이십대 후반의 나이가 되자 우리 사회도 다를 바 없어졌습니다. 당시 환경처장관이 수돗물이 ... ...
[토요판 커버스토리]베이징 맞아? 확 달라진 中 하늘 비결은…
동아일보
l
2016.06.04
중국 시진핑(習近平) 정부는 지난해 8월 대기오염방지법을 15년 만에 전면 개정했다. 당시 베이징(北京) 정가에서 ‘대기오염 국가’라는 오명을 벗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공산당 정권 유지를 위한 절박함 속에서 나온 것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강력했다. 오염배출총량제 적용 대상 지역을 전국으 ... ...
식탁 위의 GMO 안정성 논란, 20년 째 진행 중
2016.06.03
승인을 받았다. 캐나다는 미국에 이어 GM연어 판매를 지난달 20일 허용했다. GMO는 이제
선진
국의 전유물도 아니다. 중국은 GM쌀과 사료용 GM옥수수의 안전성 평가를 마쳤고 인도도 GM가지와 GM겨자 등을 개발했다. 아르헨티나는 가뭄 저항성 유전자를 콩에 삽입한 품종을 지난해 승인했다. ●표기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실험 지하 120m 동굴 ‘KURT’를 아시나요
2016.06.03
5배 면적 필요, 충분한 논의 거쳐 선정해야 주요 원자력 국가의 공론화 과정. 원자력
선진
국은 1970년대 이미 처분장에 대한 기반 연구를 시작했고, 2020년대에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운영까지 50년 넘게 걸린 셈이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전 세계에서 원전을 운영 중인 31개 국가는 저마다 다양한 ... ...
국내 9개 대학 “병역특례 폐지는 국가경쟁력 저하 불러올 것”
2016.05.30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국가 주력산업 핵심기술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오늘날
선진
국 수준의 산업발전 및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이는 고급 두뇌의 해외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전문연구요원제도가 이공계 인재의 연구경력단절을 해소하고 우수 인재들이 이공계를 선택할 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