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뉴스
"
영상
"(으)로 총 5,91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 해안선 침식 연구에 '최적'...라이다 스캐너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촬영한 해안선 사진에 주목했다. 그동안 해안선 변화 연구는 주로 위성으로 촬영한
영상
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정밀도가 낮고 초목에 가린 지형이 확인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었다. '지상 레이저 스캐너'로 불리는 장비도 활용됐지만 가격이 비싸고 크기가 커 다루기 어렵다는 게 단점이다. ... ...
바늘보다 얇게, 머리카락만큼 가늘게…초미세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환자의 체내에 삽입 후 주변 장기를 건드릴 위험이 높다. 체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영상
장비로 전달하는 데도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비아스 연구원팀이 개발한 미세 내시경은 폴리머 섬유 다발로 이뤄진 전선줄과 작은 렌즈로 구성됐다. 머리카락 25~30개 정도로 아주 얇다. 의사는 마치 펜을 ... ...
中 우주정거장 마무리 수순…우주 굴기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021년 10월 16일 베이징 우주통제센터(BACC) 내 스크린에 비친
영상
을 캡처한 사진이다.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인 '톈궁'(天宮) 건설 프로젝트를 지원할 선저우 13호는 이날 새벽 '창정(長征)-2F 야오(遼)-13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중국우주항천국 제공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 ...
이태원 참사로 국민 모두 '트라우마 고위험군'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통해 사람들이 사고에 대한 정보를 지나치게 많이 접하게 되고 있다”며 “특히 생생한
영상
물은 직접 사고를 겪은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충격을 가할 위험도 높다”고 지적했다. ●위험에 대비하는 뇌의 기능이 고장나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겪게 되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뇌의 변화가 ... ...
“이태원 참사, 압사상황 이후엔 '속수무책'...사전예방 계획이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연구원은 30일(현지시간) 이 같은 분석을 워싱턴포스트에 공개했다. 이태원 참사 현장의
영상
을 분석한 것이다. 무사이드 연구원은 “1m2당 8~10명이 몰려 있는 밀도에서 사람이 기절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사람이 숨을 쉴 수 없는 정도의 밀도라는 분석이다. 기절한 후 압박이 계속된다면 ... ...
극한기후 일상의 시대...우주공간서 미리 예측
2022.10.31
일 전 징후를 파악하는 것이 목표다. 2011년부터 시작된 JPSS 프로젝트는 총 5개 위성 관측
영상
으로 운영된다. 2011년과 2017년 2기의 위성이 이미 각각 발사됐다. 오는 11월 1일(현지시간) 세번째 위성인 JPSS-2 위성 발사가 예정돼 있다. NASA는 “발사한 위성들은 북극에서 남극까지 궤도를 돌며 지구를 ... ...
“이태원 참사 사진·
영상
많이 보면 심리적 트라우마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예방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내놨다. 신경정신의학회는 “여과 없이 사고 당시의 현장
영상
과 사진을 퍼뜨리는 행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또 다수의 국민들에게 심리적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혐오 표현의 자제가 ... ...
이태원 참사 상황, 비의도적 물리현상 '군중난류'와 유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된다는 설명이다. 헬빙 교수팀이 2010년 독일 뒤스부르크 ‘러브퍼레이드 압사사고’
영상
을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에서도 사고지점은 병목현상지와 경사로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장소도 독일과 프랑스 과학자들이 제시한 군중난류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의 ... ...
'치즈' 웃고 있는 태양 얼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입 형상을 한 어두운 부분은 태양의 코로나 홀이다. 코로나홀은 태양 자외선이나 X선
영상
에서 주위보다 어둡게 관측되는 부분을 뜻한다. 태양의 바깥 층에 속하며 태양풍이 우주로 분출되는 영역이다. 태양풍은 지구 자기장 교란을 일으킨다. 인공위성의 이상동작 현상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 ...
암 진단·치료 한번에...나노바이오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가령 몸 속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영상
화하는 바이오이미징 기술로 질병을 탐지하고, 빛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광열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나노 바이오 소재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암 세포를 발견하면 형광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