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깐
잠시
뉴스
"
짧은시간
"(으)로 총 1,1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생제내성균 빨리 진단할 수 있는 비결은…”
과학동아
l
2014.07.08
“‘HAI 키트’를 이용하면 환자 맞춤형 항생제를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8일 오전 인천 송도 이원다이애그노믹스게놈센터 연구소에서 만난 HAI 키트 개발자인 예미 아데소칸(Yemi Adesokan) 바이오이노베이션 대표가 키트에 대해 설명했다. HAI 키트는 질병을 일으킨 세균의 종류와 세균이 가 ... ...
전두환 전 대통령 추징금 환수는 엑셀 프로그램 덕분?
수학동아
l
2014.06.30
지난 2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국제 회의장은 미국과 유럽, 한국과 일본 등 전세계에서 모인 기자들로 북적거렸다. 1600여 명에 이르는 기자들이 참석한 이 행사는 매년 한 번씩 열리는 ‘탐사보도기자총회’다. 지난 6월 26일부터 4일간 열린 2014 탐사보도기자총회에서 1600여 명의 기자들 ... ...
과학도에게 필요한 것은 도전정신과 목표 의식
동아사이언스
l
2014.06.17
손미원 연구소장이 개발한 소화불량치료제 모리톤정은 2012년 제44주차 IR52 장영실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장에서 모리톤정에 대해 설명 중인 손 소장. - 손미원 연구소장 제공 신약 개발은 0.02%의 가능성에 시간과 노력을 거는 일이다. 성공했을 경우 엄청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 ...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김선정 한양대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안전성과 유연성을 고루 갖춘 고성능 생체연료전지를 개발했다.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와 생체효소를 이용해 유연하면서도 강한 섬유형태의 생체연료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 ...
‘도깨비 방망이’ 3D 프린팅 예술의 미래는?
동아일보
l
2014.05.27
[동아일보] ‘3D 프린팅 & 아트’전 초창기 컴퓨터는 방 하나만 한 크기였다거나 카메라가 등장했을 때 초상사진을 찍으려면 5분 넘게 꼼짝 말고 있어야 했다는 얘기는 이제 까마득한 과거다. 스마트폰의 진화로 남녀노소가 첨단 기술을 손쉽게 이용하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휴대전화처럼 세상에 획 ... ...
울릉도, 살아 있네 살아 있어~
과학동아
l
2014.04.25
울릉도에서는 1만9000년 전 첫 번째 폭발이 일어났다(맨 위). 1만2000년 전에는 일본에 화산재가 날아갈 정도로 강력한 폭발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나리분지의 북쪽이 평평해졌다(두번째). 9000년 전에는 세 번째 폭발이(가운데), 5600년 전에는 네 번째 폭발이 있었다(네번째). 가장 최근에는 5000년 전 작 ... ...
이번엔 '진짜' 제2의 지구?
과학동아
l
2014.04.20
사이언스 제공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찍은 사진일까. 이번 주 ‘사이언스’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한 행성인 ‘케플러-186f’를 표지에 담았다. 케플러-186f가 큰 화제를 모은 이유는 지구와 ‘닮은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물이 흐르고 생명체가 살고 ... ...
대통령 암살, EMP탄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14.04.11
드라마 '쓰리데이즈'에는 EMP무기가 터지면서 일대가 정전되고 전자장비가 작동을 멈추는 장면이 소개됐다. - SBS 제공 전봇대에 있던 수상한 전자기기가 터지자 강력한 전자파가 일대로 퍼져나가고 주변 마을은 삽시간에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에 빠진다. 휴대전화는 먹통이 됐고, 달리던 자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커리클로의 지표에서 바라본 고리의 모습을 그린 상상도. 불과 250킬로미터 상공에 펼쳐져 있다. 멀리 빛나는 천체는 태양이다. - ESO 제공 보통 비슷한 특성을 지녀 한 무리로 묶이는 경우 가장 큰 것이 주목을 받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얼마 전 진주에 떨어진 운석의 경우도 처음 발견된 9.36kg짜리 ... ...
피부에 붙였더니 전기가 나오네?!
과학동아
l
2014.04.07
조병진 교수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입을 수 있는(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한계점으로 지적돼 온 짧은 배터리 수명을 극복할 수 있는 전원발생 소자를 개발했다. 조병진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열전소자를 팔에 감을 수 있을 만큼 유연하게 만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