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스페셜
"
길
"(으)로 총 1,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않죠. 반대로 임상의사는 기초의학을 연구하고 싶어도 정부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길
이 많지 않습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와 이공계 과학자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는 게 교과부 학술연구정책실 박항식 기초연구정책관(국장)의 설명이다.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모른다는 얘기다. 그는 “지금은 다같이 지혜를 모으는 단계”라며 “안개 속을 뚫고
길
을 걷다 보면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도 연구원의 역할에 대해서는 명확한 방향을 제시했다. 박 원장은 “대학과 연구원 그리고 기업이 서로 역할을 나눠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기대, 사회적 편견 등이 그들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적성에 맞는
길
이 아니라 다른
길
로 이끌 수 있거든요. 그들이 이 이 분야로 와서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정책을 개발하고, 그런 분위기가 형성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러면 나노 분야도 자연히 발전할 겁니다.” ●최만수 교수가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KIST)에서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꾸준히 연구해온 인물이다. 순수 연구자의
길
을 걷던 사람이 산업통상자원부(지식경제부)의 기업나노지원사업인 ‘나노융합2020’ 사업단장을 맡게 된 이유에 대해 그는 담담하게 설명했다. “연구자로 있으면서 연구자에게 상용화까지 고민하게 해선 안 된다는 ... ...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미시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전자가 이런 식으로 제
길
을 벗어나면 제대로 기능하기 어렵다. 이런 현상은 왜 일어날까? 반도체의 집적도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릴수는 없다는 뜻일까? 집적도가 올라갔을 때 산화물 반도체가 전자를 가두지 못하는 이유는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기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다시피 양자 결맞음이 모든 에너지 경로에서 단번에
길
을 찾게 하는 높은 효율의 열쇠니까요. 나노기술이 지향하는 방식으로, 우리는 알맞은 재료를 써서 이 방식을 모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언 매큐언, ‘Solar’ 오늘날 영어권 최고의 소설가 중 한 명으로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공대에서 로켓연료를 연구하다 1950년대 중반 미시건 암재단으로 자리를 옮겨 암연구자의
길
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화학자였기에 떠올릴 수 있었던 기발한 아이디어로 항암제 분자를 설계했다. 암조직에서는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것에 착안해 DNA복제를 방해하는 분자를 만들기로 한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가설’의 기본개념을 생각해낸 것이다. ‘RNA 세계(RNA world)’는 1986년 하버드대의 월터
길
버트가 토머스 체크의 ‘RNA효소(ribozyme)’ 발견의 의미를 해설하면서 만든 말이다. 메신저RNA 서열을 해독해 아미노산 사슬을 만드는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을 연구하던 우즈는 리보솜을 이루는 구성성분인 5S ... ...
과학은
길
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해결책은 국가가 나서 강력하게 통제하거나 공유재를 사유화하는
길
밖에 없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미국 인디애나대의 정치과학자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의 생각은 달랐다. 세계 각지의 제도를 연구하던 오스트롬은 많은 곳에서 공유재의 비극이 일어나는 게 사실이지만 ... ...
과학은
길
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돼지 복제에 성공했다. 캠벨은 최초의 포유류 복제 성공이라는 영예와 함께 인간 복제의
길
을 열었다는 비난도 받았는데, 그 자신은 동물복제를 옹호하면서도 인간복제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15. 루이즈 존슨 (1940. 9.26 ~ 2012. 9.25) 구조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결정학자 20세기 후반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