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3,16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사라지는 아라비카 커피, '스테노필라'가 대체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스테노필라 군락지를 찾아내 이를 영국으로 가져왔다. 2020년 스테노필라 커피를
처음
시음할 때만 해도 기대치가 낮았지만 이를 마시고 생각이 바뀌었다고 한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첫 모금은 마치 식초를 기대하던 중 샴페인을 마시는 것과 같았다”고 말했다. 런던에서 실시한 평가에서 ... ...
남극 바다 수심 2000m 해저에서 발견된 대형 화살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5억 4000만년 전 지구 상 동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현재 생태계에서 관찰되는 먹이사슬 형성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연결고리로 평가받는다. 또 이동능력이 부족해 먹이가 풍부하지 않으면 생존과 번식이 어렵다. ... ...
정부가 고려 중인 '백신 스와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위원장과 박진 국민의힘 의원,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12월 기자회견을 열고
처음
한미 백신 스와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당 차원에서 정부에 제안했지만 정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질병관리청도 추진할 계획이 없다는 의사를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진화생물학자 조지 윌리엄스와 함께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라는 책을 써 진화의학(
처음
엔 다윈의학이라고 불렀다)이라는 분야를 열었다. 저자들은 진화의 관점에서 질병의 원인을 살펴보고 치료법을 모색했다. 예를 들어 발열이나 설사는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 반응으로 증상이 웬만하면 ... ...
[랩큐멘터리]유전자 스위치 찾아 뇌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대표적 성과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DNA 내 조절 부위인 인핸서리보핵산(eRNA)를 세계
처음
으로 찾아낸 것이다. eRNA는 유전자 발현과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알려졌지만 기능에 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실은 기본적인 생화학 실험에서부터 뇌 네 전 유전체를 분석해 활성화부위를 찾는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역사적인 비행 성공(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성공한 뒤 자신의 그림자를 촬영했다. NASA 제공. 화성 하늘에서 인류가 만든 헬기가
처음
으로 날아올랐다. 1903년 라이트 형제가 12초간 동력 비행을 한 지 118년만에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이뤄진 첫 동력 비행이다. 미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19일 오후 7시 53분(미국 동부시간 ... ...
[생중계] 화성 헬기 ‘인저뉴이티’ 첫 비행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최초로 비행에 성공한 이래
처음
으로 지구가 아닌 곳에서 인류가 만든 비행체가 하늘을
처음
으로 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 ☞ 화성 첫 무인 헬기 시험 19일 재도전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5771 인저뉴어티의 화성 비행 시험 계획 NASA 제공 ... ...
러시아, 45년 만에 달 탐사 재개…ISS 탈퇴 선언하며 美와 경쟁 선언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9호는 1966년 세계 첫 번째로 달의 무인 소프트랜딩에 성공했다. 1970년에는 루나 17호가
처음
으로 달에 로버를 착륙시키는 등 루나 임무는 1976년 중단될 때까지 수차례 달 탐사 ‘최초’ 기록을 세웠다. 레프 첼레니 러시아우주연구소 과학고문은 45년 만에 재개되는 달 탐사 임무에 새로운 이름을 ... ...
화성 첫 무인 헬기 시험 19일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4.18
성공한 이래
처음
이자 118년만에 지구가 아닌 곳에서 인류가 만든 비행체가 하늘을
처음
으로 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인저뉴이티가 이날 비행시험에 성공해도 곧바로 성공여부를 알 수는 없다. 화성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2억7840만㎞로,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데 15분 27초가 걸린다. NASA는 ... ...
[인터뷰]"문제 빨리 푸는 것보다 논리적 해결력이 더 필요한 시대"
2021.04.18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논리만으로도 풀 수 있는 수학과 물리를 제일 좋아했다. 그런데
처음
에 고민을 적게 하고 문제를 풀었다고 생각하고 나중에 구현을 하려다 보면, 오히려 안되는 경우가 있다. 빨리 푸는 시간이 관건이 아니다. 고민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생각했을 때는 시간을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