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심술 기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단추 크기의 센서를 달았다. 그리고 ‘go’, ‘left’, ‘right’ 를 포함한 기본단어 6
개
와 숫자 1부터 10까지를 구별하는 소프트웨어에 이 신경신호를 입력했다. 센서를 붙인 실험대상이 그중 한 단어를 머리에 떠올리자, 소프트웨어가 정확히 이를 알아맞췄다. 인식의 정확도는 약 92%였다.연구팀은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름이 붙여졌다.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연구원은 “국내에서 발견한 소행성 5
개
의 고유명칭으로 제안했던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의 영문 이름이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3월 6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소행성들은 2000-2003년에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와 이병철 연구원이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기대되고 있다.한편 같은날 ‘네이처’에도 미생물의 메타게놈을 분석한 뒤 역으로
개
별 미생물의 게놈을 찾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질리언 밴필드 박사팀은 캘리포니아주의 버려진 철광산에서 오수를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했다. 여기서 서로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시시각각 주변의 우주먼지와 가스를 비추면서 매번 색다른 모습을 연출했다.이번에 공
개
된 모습은 지난해 3월의 모습과 또 다르다. 이번 사진에 나타난 소용돌이들은 별 주변의 우주 먼지와 가스에 있는 난기류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외뿔소자리 V838은 폭발로 최후를 마치는 별의 마지막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상자는 컴퓨터를 활용한 영화 오디오 제작 시스템인 ‘프로 툴즈’(Pro Tools)를
개
발한 디지디자인(Digidesign)사와, 영화 촬영 카메라에 로봇시스템을 적용하는데 기여를 한 쿠퍼 컨트롤즈(Kuper Controls)사의 빌 톤드로(Bill Tondreau)에게 돌아갔다. 과학기술상 고든 소여상(The Gordon E. Sawyer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의해 불행이도 알들은 부화하지 못하고 깨지고 말았다. 그런 공룡알이 시화호에서 수백
개
나 발견된다.시간이 흐를수록 한반도에서 화산활동은 점점 더 심해지고 공룡들이 피신할 곳은 자꾸 줄어들고 있었다. 공룡들은 점점 더 생존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 백악기 말기까지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모두가 나서 전자태그에 대한 여론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국내 전자태그 기술
개
발과 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관련 종사자들은 내다봤다 ... ...
동물은 웰빙, 관람객은 흥미 진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환경보전 교육장이 될 것이다.호랑이를 보고 나면 꼬불꼬불 오솔길을 지나는 여우고
개
를 만나게 된다. 키가 큰 억새풀들이 주위를 감싸고 있어 오싹한 기분이 든다. 여우사에 있는 흉가와 무덤은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구미호의 전설을 눈앞에 재현하게 된다.마지막으로 나오는 동물사는 ... ...
“이것이 초기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STSI)는 허블우주망원경이 하늘의 일부 지점을 4
개
월 동안 1백만초 이상 촬영해 1만
개
의 은하들을 발견했다고 3월 9일 밝혔다. 스티븐 베크위드 STSI 소장은 “우리는 과거의 어느 누구보다 더 어둡고 먼 천체를 보았다”고 말했다. 이번에 촬영된 지역의 은하들은 우주가 탄생한 후 4억-8억년밖에 되지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시작됐고, 올해는 3월 15일부터 20일까지 전국 9
개
도시에서 공
개
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되는 융합적인 학문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이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 ...
이전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1089
10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