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930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백금보다 효율 높은 새 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공동 제1저자인 펑리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박사후
연구원
은 "이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다른 전이금속 촉매의 활성 구조를 찾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공기오염 해결책, 엔지니어링 아니라 과학에서 답 찾아야 "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존재하는 연무(에어로졸)의 근원과 형성을 설명한 김화진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선임
연구원
과 온실가스의 역사와 현 경향을 설명한 김주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해양학과 교수와 함께 공기오염에 대한 최신 연구 흐름을 소개했다. 김 교수는 미세먼지 대책의 일환으로 지난 4월 전남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유롭게 장벽을 가로지르는 전자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2
반대편으로 전달됐다. 연구를 이끈 제1저자인 이승훈 메릴랜드대 재료공학과 박사후
연구원
은 "상대론적 양자역학계에서만 발생하는 특이 현상을 직접 관측했다"며 "이 연구 결과를 양자정보소자와 양자센서 등 양자컴퓨터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미지의 미생물이 이를 다 사용해 버렸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영준 한국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천문학적인 관점에서는 250~300년인 메탄의 수명은 매우 짧은 것”이라며 “우리가 탐사를 수행한 최근 수십 년 간 메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서 과거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을 ... ...
7년간 9100억원 들여 미래국방 기술 확보한다면서 시작부터 선긋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과정에서 의사결정 과정에 군과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안보기술개발단 관계자는 “공들여서 계획을 만들어도 국방부와 계획이 따로 간다면 국가 자원을 낭비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날 과기정통부는 방위사업청과 긴밀한 협조를 하고 ... ...
"원자력연, 방폐장 보낸 폐기물 5개중 4개 농도분석 엉망" 또 총체적 관리 부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사용 중인 값이 안전에 이상이 없는 유효범위 내인 것이 확인됐다. 원안위는 “원자력
연구원
과 공단 등 관련 기관으로 하여금 철저한 자체 분석을 통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며 “제도적 개선사항에 대한 검토도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안위는 조사결과에 따라 ... ...
실시간 감염병 감시기술로 '제2 메르스 사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에서 바이오센서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2003년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으로 자리를 옮겨 본격적인 바이오융합연구를 하게 됐고, 2016년부터는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장직을 맡아 헬스가드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미 해외에서도 미국 하버드대나 유수 벤처기업, ... ...
한국물리학회 ‘플라스마물리학 신진과학자상’에 유민구 씨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데 큰 파급력을 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유
연구원
은 “앞으로 국내 플라스마 분야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이끌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
'장벽 통과하는 입자 현상' 이승훈 박사 국제연구팀 규명
연합뉴스
l
2019.06.21
고려대 기초과학연구소를 거쳐 현재 미국 메릴랜드 대학 신소재공학과에서 박사 후
연구원
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 박사는 국제저명학술지(SCI) 논문 45편을 출판했고, 20여 건의 국제 학술 발표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 ...
“동토에 숨었다 피는 ‘씨범꼬리'에서 북극식물의 인내 배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말했다. 오래 인내해야 하는 꽃의 운명이 북극의 과학 연구와 언뜻 겹쳤다. 이유경 책임
연구원
이 또 하나 꼽은 식물인 씨범꼬리. 여러 해 동토 아래에 숨죽이고 있다 꽃을 피운다. 결과를 볼 때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북극 연구가 씨범꼬리의 운명을 닮았다. 사진제공 이유경 ... ...
이전
1085
1086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