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규칙"(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이슬람으로 떠나는 기하학 산책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타일 두 종류만 써서 주기성이 나오지 않는 타일링을 만들었다. 언뜻 보기에는 무척 규칙적으로 보이지만, 주기성을 띄지 않는다.펜로즈 타일링이 2개의 타일을 이용해 무늬를 만든 것이라면, 이슬람 무늬는 대부분 5개의 타일로 이뤄져 있음이 밝혀졌다.‘기리 타일’이라고 부르는 이 타일은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치는지 관심이 많더라! 내가 건강할 때 물에서 헤엄치는 모습을 열심히 관찰하더니 규칙적인 패턴을 찾아냈어. 내 몸동작과 수영 속도에 대한 관계를 수학적인 함수로 구한 거지.중요한 점은 내 신경이 손상되면 수영 방법이 변한다는 거야! 즉, 내가 어떤 약물에 노출 된 상태로 수영을 했는데, ...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제외하고 더 이상 만나지 못하거든요.리듬★ 음의 장단이나 강약 따위가 반복될 때 규칙적인 음의 흐름.화성★ 몇 개의 화음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연결된 것.저는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다가 결국은 만나지 못한 리듬과 화성 패턴을 통해 시간의 종말, 더 나아가 영원히 이어지는 시간을 ... ...
- 뻘 속에 든 해를 조금만 더 머물게 해다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다시 태어난다. 전남 순천 앞바다에 펼쳐진 와온 갯벌도 그런 신비한 장소다. 매일 규칙적으로 오르내리는 갯벌의 숨에, 생명도 살고 사람도 산다. _사진 박덕수● 국내의 대표적인 사진가와 작가들이 순천만을 방문하고 남긴 사진과 글을 모은 책 ‘습지의 숨.쉼(Breath and Repose of the Wetland),’의사진을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작품 중 가장 긴 작품이다. 알람브라 궁전의 테셀레이션이 평면에 같은 무늬를 규칙적으로 채워 넣은 것이었다면, 에스허르는 한 모양이 다른 모양으로 변하면서 평면을 빈틈 없이 채워나가는 변형 테셀레이션을 선보였다.특히 는 우체국의 주문을 받아 만든 것으로, 중간에 편지가 날개를 ... ...
- [가상 인터뷰] 거품의 일생, 그 비밀이 밝혀졌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사실 그렇지 않아요. 저는 태어날 때부터 정해진 규칙대로 살아가고 있답니다. 다만 그 규칙이 너무 복잡해서 그 동안 사람들이 이해를 잘 못했던 것이죠.그렇군요. 그렇다면 어렸을 때 이야기와 미래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거품의 일생은 액체의 표면에서 막이 얇게 퍼지는 것으로 시작해요. 세이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수를 어떻게 이진법으로 바꿀 수 있을까? 흑돌을 1, 백돌을 0이라고 가정한 다음, 다음 규칙을 따라해 보자.규칙 1 바둑돌이 홀수 개인 경우반으로 나누기 위해 바둑돌 한 개를 왼쪽에 준 다음, 남은 바둑돌을 반으로 개수를 줄여 한 줄 내려온다.규칙 2 바둑돌이 짝수 개인 경우바둑돌이 반으로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이 면을 밀면 되는 건가?”폴이 주사위를 만지려고 하자 하루가 제지했다.“잠깐! 무슨 규칙이 있지 않을까?”하루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주사위 면들 바로 위에 두 개의 주사위 전개도가 순서대로 나타났다.“주사위 전개도 같은데… 응? ‘?’가 들어간 면까지 면이 7개네?”“이 전개도로 주사위를 ... ...
- 불행해? 페이스북부터 끊어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으며 출신지가 다양한 82명의 미국인 남녀를 모집했다.이들에게 2주 동안 하루 5번씩 불규칙한 간격으로 페이스북 메시지를 보내 ‘지금 어떤 기분인지’, ‘얼마나 걱정이 많은지’, ‘얼마나 외로운지’ 등을 물었다. 마지막으로 메시지를 받은 이후 페이스북을 사용한 시간과 오프라인에서 직접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한스 한센은 보어에게 뜻밖의 조언을 했다. “스웨덴 룬드대의 뤼드베리가 빛띠선의 규칙성에 대해 매우 상세한 연구를 했다”며, “발머의 공식을 찾아보라”고 조언한 것. 1885년 스위스의 요한 발머는 수소원자의 흡수스펙트럼선의 파장들 사이에 독특한 수열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보어는 훗날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