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간
기미
테인
tarsus
d라이브러리
"
다소
"(으)로 총 1,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다시 주목받는 퍼셉트론초기의 소박한 과학적 열정으로 시작된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는
다소
시들해졌다. 그 이유로는 먼저 인간의 뇌기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과 아직도 상식과 같은 모호한 지식을 효율적으로 컴퓨터에 이식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함께 과장되게 부풀려 ... ...
오래씹어도 단맛 잃지 않는 껌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추잉껌의 혁명」은 지속형 약제 개발에 앞서 수행한 워밍업을 통해 달성되고 오래 씹어도 단맛을 잃지 않는 껌이 최근 미국에서 개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껌씹기를 즐 ... "문제는 껌맛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간보다 훨씬 빨리 껌씹기를 지겨워한다는 데 있다"며
다소
멋적어 했다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연기를 한 화면과 배경화면을 현상소에서 광학방식(optical print)으로 합성하게 된다.
다소
화질이 나아진 것은 사실이나 이 기법도 화면이 겹쳐지고 연기와 배경의 부드러운 합성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컴퓨터가 도입됐다. 컴퓨터에 의한 촬영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이밖에도 야채류에 다량 함유된 섬유소가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다소
떨어뜨린다는 보고도 나와 있다. 아직 실제로 사람에 적용해보진 않았으나 동물실험결과, 섬유소의 일종인 사과의 펙틴이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현저히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또한 요구르트가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속에 눈에 띄지 않는 작은 별들이 외뿔소란 이름의 별자리로 불려지고 있다. 이 별자리는
다소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4등급 이상의 밝은 별은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관측자들도 아주 맑은 밤하늘 아래서만 이들을 추적할 수 있다. 그러나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어느 정도 일어나고 또 어떤 종류가 있는가. 병원의 규모나 모이는 환자의 성향에 따라서
다소
다르나 큰 대학병원의 경우, 퇴원환자의 5% 정도가 병원감염을 일으킨다. 즉 환자 1백명이 퇴원할 때, 그중 5명 정도는 병원에서 새로운 감염을 얻게 된다는 말이다. 그중 흔한 것을 꼽아 보면 요로감염 ... ...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다시 말해 두세개의 실린더만을 장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고속주행시 힘이
다소
부치는 약점도 안고 있다.우리는 이미 자동차생산 기술에 관한한 상당한 기술축적을 이뤘다. 엔진도 이제 거의 100% 국산화하고 있으며 신종 특수엔진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또 현재 국내에서 개발하고 ... ...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실수로 인해, 수신측에서도 가끔 오독하는 경우가 있었다.컴퓨터의 등장으로 암호체계는
다소
혼란스럽게 됐으나, 1977년 미연방정부가 표준안인 DES(Data Encryption Standard)를 제안함으로써 정리됐다. DES는 사실 연방정부의 공개제안에 응한 IBM의 작품이었다.DES는 기본적으로 16자리의 암호화키(key)를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경제성있는 과제를 연구할 수 있는 계약연구소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랬더니 호닉은
다소
놀라는 표정을 지었다. 하지만 그렇지 않고는 우리가 배겨낼 재간이 없다는 것이 당시 나의 솔직한 심정이었다. 기초에서부터 막대한 돈을 투자해 연구결과가 나오면 상품화하는 벨연구소보다는 수탁연구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는 문제점 몇가지를 지적해 보겠다.먼저 6차교육과정의 특징으로 과학과목의 시간수가
다소
줄어들었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렴하기 위해 8가지 계열로 과목을 세분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변화는 획일적인 과학교육의 틀에 식상한 현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임에 틀림없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