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썽
문제
분쟁
소동
d라이브러리
"
물의
"(으)로 총 1,372건 검색되었습니다.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밝혀졌다.◇한냉설 : 이에 대한 증거는 많다. 심해저 시추결과 공룡이 멸망할 때쯤 바닷
물의
온도가 낮아져 탄산칼슘의 용해 수준이 갑자기 상승했다는 것이 발견됐다.◇산소과다설 : 백악기 말 탄소동화작용 능력이 큰 현화식물(꽃씨)이 번성해 산소가 너무 많아져 공룡의 생리작용에 이상을 ... ...
3. 맛 좋고 키 큰 콩나물 기르려면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떡잎을 가진 맛있는 콩나물을 만들기 위해서겠지. 그럼 마지막으로 온도에 따라 콩나
물의
길이가 어떻게 달랐는지 토론해 보자. 우리는 모두 상온에서 콩나물이 가장 잘 자란다고 가설을 세웠어.미선) 그것도 맞는 가설인 것 같아. 5℃에서 실험한 콩나물(A와 F)은 거의 자라지 않았어. 또 50℃에서 ... ...
수영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수영복의 획기적인 전환을 이룬 것은 88 서울올림픽이었다. 소재와 수영복 자체가
물의
저항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저저항’이란 개념이 등장한 것이다. 이 당시 나온 수영복은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물과의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해 실의 굵기를 20μ에서 8.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감시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동아시아 몬순이 지구 기후계의 에너지와
물의
순환에 작용하는 역할을 규명하고, 동아시아 몬순은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려는 목적을 갖는다.우리나라도 현재 '장마집중감시사업'을 기획해 기상재해를 줄이는 한편 합리적인 장마 감시체계를 수립하고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물 분자가 빛 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크다고 가정했다. 파동설 진영에서는 공기와
물의
경계면에서 파동의 마루와 마루 사이의 간격, 즉 파장이 짧아져 굴절이 생긴다고 설명했다(그림2). 하지만 이는 하나의 가정일 뿐이었다. 두가지 설 모두 가정을 통해 빛의 굴절을 설명한 것이다. 또다른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그렇게 격렬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활발한 움직임을 볼 수 있다. 리튬의 비중은 0.53이므로
물의
절반 정도밖에 안된다.다음은 금속나트륨을 살펴보자. 실험할 때 주의할 점은 나트륨이 멀리까지 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눈보호용 안경을 써야 한다. 나트륨을 작은 조각으로 자른 다음 휴지와 함께 들어 ... ...
3. 물리학 진자운동에도 카오스가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아래에서 위로 이동한다. 시간이 지나 물이 더 가열되면 대류운동이 격렬해지고 마침내
물의
흐름이 제멋대로인 난류가 생겨난다. 난류는 유체에서의 카오스운동을 말한다.(그림3)과 같이 물을 두 원통사이에 채우고 안쪽의 원통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또 다른 형태의 난류가 생겨난다. 회전속도가 ... ...
3. 종이가 액체를 흡수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현미경도 없고 종이의 두께를 정확히 측정할 방법도 없다. 또 식용유나 알코올,
물의
온도를 정확히 유지하며 실험할 수도 없으니까.한경) 그래. 그리고 우리가 처음에 실험하면서 모세관현상에 대해 생각했었잖아. 그것도 생각해 볼 가치가 있지 않니?희선) 또 중학교 때 배운 크로마토그래피하고도 ... ...
청소년기 효과 의심스런 뇌파조절기구 부작용 가능성도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전자게임에 몰두하던 어린이들이 갑자기 발작하는 사건이 자주 일어나 전세계적으로
물의
를 크게 일으켰다. 당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린이들이, 급속하게 변하면서 깜박거리는 원색 화면을 장시간 응시하며 게임에 몰두하는 과정에서 뇌의 신체제어기능에 어떤 혼란이 야기된 ... ...
1. 물질세계의 터널 공사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의 염산과 수산화나트륨을 준비하면 될 것이다.다음으로 끓는
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물을 끓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중금속의 영향을 알아보려면 다양한 중금속을 준비할 수 있으나 실험실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은(Ag)을 포함한 0.1몰(M)짜리 질산은 (AgNO₃)을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